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T과학칼럼] 융합연구로 과학기술 도약

4월 21일은 과학의 날이다. 이날은 우리나라에 과학기술처가 처음 출범한 1967년 4월 21일을 기념해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당시 과학기술과 관련된 독립 중앙행정부처를 가진 나라는 선진국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였고 개발도상국은 한국이 유일했다. 산업 기반도 거의 없이 당장 먹거리를 확보하는 것조차 급급했던 상황에서 과학기술처의 출범은 파격적이다 못해 허황되게까지 보였을지 모른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한 유일한 국가가 된 것은 바로 과학기술의 힘 덕분이었음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당시 지도자층의 선견지명과 파격적인 지원, 과학자들의 헌신에 힘입어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고 여기에 다음 세대의 노력이 더해져 오늘날 반도체, 배터리 등 세계 1위 기술을 보유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우리 과학기술인들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패스트 팔로워에서 퍼스트무버로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앞에 놓인 현실은 결코 녹록지 않다. 가장 먼저, 코로나19가 앞당긴 디지털전환 시대 들어 정보통신 기술과 타 분야를 결합해 이전에 없었던 기술과 서비스를 창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둘째로는 첨단기술을 둘러싼 미·중 간 패권 경쟁과 이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기술자립을 이뤄내야 한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팬데믹 등 범지구적인 문제도 시급한 과제다. 앞선 문제들은 점차 거대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해결을 위해 개발해야 하는 기술도 특정한 단일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아 과거와는 차별화된 연구개발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선진국들은 자국민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범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해 융합연구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20년 전인 2002년부터 국립과학재단의 전략보고서 ‘인간의 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 기술들’을 통해 나노, 바이오, 정보, 인지과학을 4대 핵심 분야로 선정했고 이후 에너지, 환경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방법으로 융합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유럽연합(EU)도 2004년 ‘지식사회기반 융합기술 발전전략’ 보고서에 다양한 기술을 망라한 융합연구 수행 계획과 함께 융합 연구의 경제·사회적 영향도 함께 분석한다는 계획을 담아 이를 실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9년도부터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을 주기적으로 수립해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융합 연구개발비 예산 규모의 경우, 2017년 3조 5495억원에서 2021년 3조 5536억원으로 큰 변화가 없어 선진국이 융합연구에 투자를 확대하는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그렇기에 2017년 일몰사업으로 지정되었던 STEAM 융합연구사업을 개편해 2022년부터 투자를 재개하기로 한 것은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우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도 연구현장에서 융합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연구자 간에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연구 문제를 토론할 수 있는 ‘과학자 소통 포럼’을 개최하는 등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대전환의 시대 속에서 우리 과학기술이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55년 전과 같은 지혜로운 판단과 결단이 필요하다. 당장의 실적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에 집중하기보다 장기적으로 파급력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창의적인 혁신을 가져오는 탄탄한 융합연구 기틀을 마련해 나가길 기대한다.

박귀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 원장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