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비재 기업 절반 이상 “친환경 트렌드, 수출에 영향 크다
무협, 친환경 트렌드 분석 …유망시장은 서유럽·오세아니아順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기후변화와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친환경 의식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와 기업이 ‘그린슈머(Greensumer)’를 겨냥한 마케팅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절반이 넘는 51.3%가 ‘친환경 트렌드가 수출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했다. 보고서는 지난 2월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개사를 대상으로 완성됐다.

‘팬데믹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는 기업도 52.1%에 달했다. 글로벌 소비재 시장을 ‘그린슈머’도 주도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린슈머는 지난 2021년 기준 글로벌 소비자의 53%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보다 약 2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연구원은 서유럽, 동유럽, 아시아·태평양,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 등 6개 지역의 친환경 소비시장을 시장 성숙도, 소비자 영향력, 기업 인식, 정책 환경 등 4개 부문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가장 유망한 시장은 서유럽으로, 그 뒤를 오세아니아가 뒤따랐다.

친환경 제품 수도 서유럽이 120만여 개로 가장 많았다. 시장의 성장률은 오세아니아가 10.1%로 가장 높았다. 특히 오세아니아 소비자들은 친환경 제품 구매 의사 비중(33.6%)과 구매력(46,567 달러)이 높아 소비자 영향력이 컸다. 환경성과지수(EPI), 기후위기대응 정책평가지수(CCPI Climate Index) 등도 서유럽과 오세아니아가 타 지역대비 높아 정책 환경이 좋았다.

보고서는 “글로벌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대응전략이 필수”라면서 “친환경에 민감한 MZ세대를 대상으로 경험 극대화, 친환경 경영활동 공개 등 마케팅 전략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함께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요소 적용하기, 그린워싱(친환경 위장) 방지, 친환경 인증 취득 등 대응전략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수출기업의 친환경 전환에 따른 가장 큰 애로는 ‘연구개발(R&D) 및 원가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31.2%)’, ‘인증 취득 어려움(19.3%)’이었다. 필요한 지원으로는 ‘금융지원(25.7%)’, ‘인증 취득 지원(25.2%)’, ‘마케팅 지원’(22.9%)’ 순이었다.

임지훈 무역협회 연구원은 “그린슈머 세대가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자신들의 가치를 충족시켜준다는 만족감’ 때문”이라며 “상대적으로 관여도가 낮기 때문에 우리 수출기업의 적극적인 친환경 제품개발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부와 지원기관에서도 금융·기술·마케팅 지원뿐 아니라 친환경 산업 통계 구축, 해외 상호인증협정 활성화, 해외인증 획득 지원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