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외 주요기관 “韓 올 2%대 성장”…예고된 ‘하향 도미노’
우크라·中봉쇄령 여파…깊어지는 경제불안
中 수출 의존도 25%…추가 하향 불가피
우크라·통화긴축 영향 세계경제 동반둔화
한은 성장률 전망치도 곧 하향조정 될 듯
IMF 등 국내외 주요기관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속속 낮게 잡고, 고물가에 대한 경고음을 켜면서 우리 경제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코스피 장 초반이 2710대 약세를 보이고 있는 20일 오전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잇따라 2%대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세계 경제 회복세 둔화가 불가피하고 국제유가와 곡물가격 급등으로 수익이 악화되면서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의 코로나 봉쇄 조치까지 겹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공포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현재 3% 안팎의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는 정부와 한국은행,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물론 민간 경제연구기관들의 성장률 전망치도 속속 하향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저성장·고물가 상황속에서 내달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가 적자국채 발행을 통한 돈 풀기에 나설경우, 우리 경제에 저성장-고물가 현상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일 주요기관에 따르면 IMF는 전날(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다. 이는 1월의 경제전망 보고서 및 지난달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밝힌 3.0%보다 0.5%포인트 내린 수치다.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주요 기관과 비교하면 정부(3.1%), 한국은행(3.0%), OECD(3.0%), 투자은행(IB) 평균(3.0%), 피치(2.7%), 무디스(2.7%)보다 낮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2.5%)와 같다. 다만, 3%대를 제시한 정부·한은·OECD의 전망 시점은 지난해말~올해초인 반면, 2%대를 제시한 신용평가기관 등의 전망은 3월 이후였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보고서를 낸 기관들은 모두 2% 성장 전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다른 기관의 하향조정이 잇따를 전망이다.

IMF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월 수정 전망 때와 같은 2.9%를 제시했다.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3년간 평균 성장률은 1.85%로 주요 7개국(G7)과 비교할 때 미국(1.92%)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2020∼2023년 4년간 평균 성장률(2.11%)은 미국(2.02%), 캐나다(1.42%) 등 G7 국가들의 성장률을 웃돌았다.

IMF는 올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0%로 봤다. 지난달 연례협의 당시(3.1%)보다 0.9%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간 기준으로 4%대를 기록한 것은 2011년(4.0%)이 가장 최근이다. 한국의 전망치는 미국(7.7%), 영국(7.4%), 캐나다(5.6%), 독일(5.5%), 프랑스(4.1%)보다는 낮고, 일본(1.0%)보다는 높다.

민간 기관 중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경제전망 수정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6%로 낮췄다. 우리 경제가 대외 의존도가 높은 탓에 대외 악재로 인한 직격탄을 고스란히 받아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유가·곡물가를 급등시키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전세계적인 통화·재정의 긴축적 운용, 코로나 여파 등으로 글로벌 경제가 둔화되면서 큰 타격을 받을 것이란 진단이다.

여기에 우리 전체 수출의 25%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최대 교역국 중국 경제가 상하이 등 주요도시 봉쇄로 부품 수입지연에 따른 국내 생산 차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배터리 관련 수입의 80.2%, 반도체 관련 수입의 30.6%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관련업계엔 비상이 걸린 상태다.

문제는 쓰나미처럼 몰아치는 대외 리스크를 해결한 정책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경기를 살리기 위해선 기준금리를 낮추거나 재정지출을 확대해야 하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이를 수행하기 어렵다. 가계와 자영업자 빚은 물론 국가부채가 모두 급증해 긴축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