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빨라지는 초고령화 속도…질병청 ‘국립노화연구원’ 설립 재검토
노인복지센터. [헤럴드경제DB]

새 정부가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에 나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립노화연구원은 우리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이미 1990년 첫 설립 논의가 진행됐지만, 2012년까지 번번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하면서 설립이 지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인구구조 변화를 외면할 수 없는 만큼 미국 등 선진국처럼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서둘러 노화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최근 국립보건연구원 산하에 국립노화연구소 설치에 대한 타당성을 재검토 중이다. 인구 고령화가 더이상 외면할 수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서다. 통계청 ‘2021 고령자통계’를 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불과 3년 앞두고 있다. 75세 이상의 초고령 노인도 증가해 2040년에 이르면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초고령 노인이 51.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초고령 노인 증가로 복합 만성질환 유병률도 늘었다.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를 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84%는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다.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018년 6월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을 발표하며 노화에 질병코드를 부여, 올해부터 공식 발효한 것도 그래서다.

이탓에 해외 각국도 노인성 질병에 대응하고자 노화의 원인을 연구하기 위해 국공립노화연구소를 설치해 운영해 나가고 있다.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가 대표적이다. NIA는 노화에 대한 종적 관찰 연구를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NIA는 미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보건원이 거느린 27개 연구소와 센터 중 하나로 연방의회 주도로 1974년 설립됐다. NIA의 올해 외부과제 관련 예산만 35억5972만달러(4조3962억원), 내부연구 예산은 3억3950만달러(4192억원)에 달한다.

이에 비해 우리는 아직 관련 연구기관이 없다. 1990년 5월 정부가 미국 NIA 사례를 들어 한국노인연구원 설립을 추진하기도 했고, 2007년에는 복지부가 국립노화연구원 설치 계획을 발표하면서 관련 부지를 마련하기도 했지만 2012년까지 4차례에 걸쳐 이뤄진 예비타당성 조사사업 대상 신청이 설립 근거 법령 미비 등으로 심의 초반 제외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필요성을 강조한다.

원시연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은 “미국의 NIA는 노인인구가 11%였던 1974년에, 일본의 동경도립노화연구소는 이보다 앞서 노인인구가 7%인 고령화사회 진입 시점인 1972년 설립됐다”며 “이에 비해 우리는 노화관련 R&D 등 정부 사업이 단발성, 분절적으로 이뤄지며 특정 질병의 기초연구 중심에 머물러 있어 노인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선 노화연구소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