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처분소득 줄고 금융부담은 증가...서민 '이중고' [고삐 풀린 물가]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소비자물가지수가 10년 3개월 만에 최고치인 4.1%로 치솟으면서 서민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당장 같은 돈으로도 구매할 수 있는 재화가 줄어들었고, 설상가상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갚아야 할 이자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 탓에 저소득층의 살림살이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5일 통계청 ‘2021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적자가구 비율은 24.4%로 직전 분기(21.6%) 대비 2.8%포인트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인 10가구 중 6가구가 적자 살림을 낸 것이다. 가처분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더 컸다는 의미다. 소득 하위 20%의 지난해 4분기 월평균 소득은 105만8000원, 가처분소득은 89만원, 가계지출은 136만3000원이었다. 월평균소득에서 가계지출을 뺀 적자 규모는 30만5000원이다.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율은 지난해 4분기보다 더 늘어날 수 있다. 더 이상 허리띠를 졸라 맬 여력이 없는 상태에서 물가가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물가 상승에 기름을 붓고 있다. 국제유가가 100달러를 웃도는 등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서 올해 1~2월 중 원재료수입물가는 58.5% 급등했다. 1~2월 중 원유와 천연가스(LNG) 수입물가 상승률은 각각 68.1%, 69.2%로 나타났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물가를 끌어올리는 최대 변수다.

실제 4분기 소득 하위 20%의 지출 내역을 보면, 먹는 데 드는 식료품·비주류음료(22.9%)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도 주거·수도·광열(19.4%), 보건(13.2%), 교통(6.6%) 등 필수 지출 비중이 컸다. 1분기 필수 지출 비중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예컨대 단순히 승용차 주유비만 봐도, 지난해 4분기 휘발유 30L를 주유 시 4만9000원(L당 1590.6원) 들었지만, 3월 현재 6만원(L당 2001.1원)으로 1만1000원가량이 더 들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으로 1만1000원이 사라진 셈이다.

팍팍한 살림살이는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10년 3개월만에 최고치로 치솟은 물가에 더해 대출이자 역시 동반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미 연준은 한 번에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는 ‘빅스텝’을 포함해 올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을 막기 위해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경우 지난 2년간 코로나19 빚으로 버텨오던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서민들의 대출이자 부담은 크게 늘 수밖에 없다.

실제 은행권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지난달 3.93%를 기록했다. 전월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코로나19 발생 시점인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24.6%포인트 뛰었다. 외환위기(13.4%포인트), 신용카드 사태(8.9%포인트), 글로벌 금융위기(21.6%포인트) 때보다 상승 폭이 크다. 게다가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금리 상승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2월 현재 76.5%(잔액 기준)로 8년 만에 가장 높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