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요동치는 금융시장…물가·금리·환율 퍼펙트스톰 덮치나
우크라發 국내시장 직격탄 예고
원화가치 하락·국고채 금리 등락
국제유가 상승 물가 압력 거세져
채권금리는 수년래 최고치 경신
선거앞둔 추경 확대 재정도 부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사실상 침공하면서 금융시장이 급격한 변동성에 휩싸이고 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싸고 서방과 대치를 이어가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지역 돈바스에 군을 진압하는 강수를 던졌다는 소식에 22일 금융시장은 충격으로 문을 열었다. 장이 시작되자마자 원화가치는 떨어지고 국고채 금리는 오르내리락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러시아가 원유와 가스 등 에너지시장을 틀어쥐면서 나타날 국제유가 상승과 이로인한 물가 상승 압력도 더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긴축 파고가 겹친 가운데 미-러 갈등으로 인한 물가·환율·금리의 상승이 가파라지면 최악의 경우 우리 경제에 ‘퍼펙트스톰(초대형 복합 위기)’이 덮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예고된 유가 상승, 물가·금리 더 빨리 오른다=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로 급등했다.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가격은 2.79달러(3.06%) 상승한 배럴당 93.8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는 2.74달러(2.91%) 오른 배럴당 96.28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1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물가 급등이 예고된 셈이다. 이미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국제 유가 상승 등으로 1년 전보다 30.1%가 급등했는데 더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물가가 오르면 통화정책은 긴축 속도를 높일 수밖에 없다. 유동성을 흡수해 물가 안정에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시차를 두고 원유 공급이 유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환율이나 주식시장 등은 어느 정도 선반영된 측면이 있으나 금리 인상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금리는 이미 수년래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영향을 주는 3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21일 연 2.363%에 장을 마치며, 2014년 9월 이후 7년5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도 연 2.770%로, 2018년 5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문제는 1800조원으로 불어난 가계부채가 이 같은 시장 금리 상승을 견뎌낼 수 있을 것이냐는 데에 있다. 게다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나타난 추가경정예산 편성은 금리 상승을 부채질할 가능성이 크다. 국회는 지난 21일 저녁 본회의에서 16조9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통과시켰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추경은 적자 국채 발행으로 이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채권금리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면서 “글로벌 긴축 상황에서 국채 발행은 금리 발작으로 이어지고, 가계부채도 부담이 될 뿐아니라 가계소비에도 영향을 줘 경제의 악순환을 불러온다”고 말했다.

▶원화값 하락하고 금리 오르면…버틸 수 있나=통화정책도 시름에 빠지게 됐다.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미국 중앙은행의 매파적 기조 강화와 우크라이나 사태, 추경 등이 모두 겹쳤기 때문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등은 연준이 연내 150bp(1bp=0.01%포인트)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대로라면 미 기준금리는 1.5~1.75%로 치솟는다.

한·미 금리 차가 좁혀지면 한국 시장에서 자본 유출은 불 보듯 뻔하다는 전망이다. 한은 역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다만 2월 금통위에선 인상을 쉬어갈 가능성이 크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은이 올해 추가적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번엔 인상에 나서지 않고 국내외 금융 상황을 더 살펴볼 것”이라며 “한·미 간 금리 차가 1%포인트 있어 아직 자본 유출이 본격화될 단계는 아니라고 보고, 미국 금리 인상 속도를 고려할 때 아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글로벌 투자자금이 한국 시장이 가진 불확실성을 지울 만큼 우리 경제의 성적표가 뛰어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원화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국제유가 상승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선 무역수지 적자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월 유가 오름세에 적자로 돌아선 뒤 1월에도 마이너스로 마무리했다. 이달에도 석 달 연속 적자가 예상된다. 선거를 앞둔 추경 확대는 재정적자를 불러와 ‘쌍둥이 적자’를 일으킬 수 있다.

김 교수는 “국가부채가 우려할 수준으로, 손실보상법이나 국가재정법 한도를 무시하고 재정 확대가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부양 목적의 재정 확대가 결국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성연진·박자연 기자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