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더 거세진 추경發 물가·금리 상방압력…‘영끌’ 서민부터 타격온다
금리 예상보다 더 급진적 가능성
당정, 국고채 늘려가며 인상 자극
금리 1%P 오르면 이자 87만원↑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 금리 인상시기도 빨라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당정은 국채로 추가경정예산(추경)까지 편성하며 금리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금 흐름이 부족하고, 시세 차익을 아직 거두지 못한 문재인 정부 임기말 ‘영끌족’들이 가장 먼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전망이다.

18일 기획재정부 2022년 2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 따르면 1월 국제유가는 지난해 1분기 평균가격과 비교해 48% 급등했다. 공급망 차질로 인해 지속적인 오름세를 나타내왔고, 최근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사태가 생겨나면서 가격상승을 부채질했다. 이에 12월 일부 하향조정됐던 국제유가는 다시 오름추세로 전환했다.

다른 원자재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1월 국제곡물 가격 및 비철금속 가격은 대부분 상승했다. 옥수수 및 대두는 남미 가뭄 등 주요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상승했다. 옥수수는 전월평균비 2.9%, 대두는 8.7% 상승했다. 구리·알루미늄·니켈도 올랐다. 각각 2.3% 10.9%, 11.1% 상승을 나타냈다. 17개 주요 원자재 가중평균 지수인 로이터지수는 지난해 1분기 2773에서 지난달 3298로 올랐다.

소비자물가는 이에 지난해 4월부터 10개월 연속 물가안정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기재부 주도로 전기·가스요금을 동결하면서 유가상승에도 공공서비스 물가 등은 현재 그대로인 상태다. 지난달 전년동월비 0.9% 상승에 그쳤다. 지난해 12월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유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계속 적자를 감내할 수는 없다. 이미 오는 4월 가격상승이 예고됐다.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이미 올해 2.00%까지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17일 “대선 후에는 신정부의 정책방향이 확인되기까지 상대적으로 신중한 통화정책이 요구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현 총재의 임기 내 마지막 회의인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도 열려있다”며 “한은이 추정하는 중립 기준금리는 2.25~2.50%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당초 예상보다 더 빠른 속도로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연준이 지난 16일(현지시간)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는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가 73차례나 등장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당정은 추경까지 편성하면서 금리상승 속도를 빠르게 만들고 있다. 14조원 규모 추경 중 11조원은 국채로 조달된다. 이는 국회 심의과정에서 증액돼 최소 16조원 이상으로 늘어나고, 국채발행규모도 13조원 이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국채시장은 이미 금리인상으로 반응하고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14일 국고채 10년물 평균 조달금리는 2.714%로 전년말 대비 47bp가 상승했다.

금리가 급등하면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계층은 서민 중에서도 대출이 많은 이들이다. 현금흐름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다수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한 ‘영끌족’이 대표적이다. 문재인 정부 초창기에 구매를 한 이들은 가격차익이 비교적 상당해 충격에 대비할 수 있지만, 후반기에 구매를 했다면 위기에 처할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지난 15일 이와 관련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가구당 연간 이자부담이 87만6000원 추가로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가계의 총 연간 이자부담은 18조4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는 작년 3분기말(가계신용통계) 기준 1844조9000억원이다. 가계부채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75.7%로 추정된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