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중 패권전쟁 심화…美주도 공급망 재편 참여 실익챙겨야”
전경련 ‘주요국 정책 대응방안’
中 내수 활성화 정책서 기회 포착
유럽 수출품 현지생산으로 전환

올해 미·중 패권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참여해 실익을 챙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발표한 ‘2022년 주요국 정책방향과 한국의 대응’ 자료를 통해 “미국은 중국 견제를 심화하고, 중국에 대한 우위 확보 및 공급망 디커플링을 위해 아시아 네트워크 강화에 특히 집중할 전망”이라며 “한국은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에 참여, 공급망 다변화 기회로 활용해 실익을 확보하고 미·중 갈등으로 인한 우리 기업의 잠재적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올해 반중 경제연대 성격이 강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를 핵심 정책으로 내세우며 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5.1%까지 하락하는 등 경제성장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은 중앙·지방정부가 내수 활성화 정책을 쏟아내고, 제 20차 중국공산당대회를 앞두고 ‘공동부유(다같이 잘 사는 사회)’ 등 시진핑 주석의 주요 정책도 과감히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은 “올해 중국은 정치환경과 정책의 변화가 클 것”이라며 “보수적인 중국 시장 접근과 함께 중국당국의 내수 활성화 정책에서 적극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은 회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기조와 함께 전략산업 공급망 독립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전략산업의 자체 공급망 구축을 골자로 하는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을 추진하고, 제약·의료 등 핵심 분야 보호를 위해 외국인투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 한국 기업들은 대 유럽 수출품을 유럽 내 공장 생산으로 전환하는 등 수출전략을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일본은 올해 기시다 내각의 실질적 원년을 맞아 한일관계, 안보, 경제 등에서 차별화된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략물자의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하는 경제안보실 신설, 원전 재가동 정책 추진 등 주요 경제정책의 변화도 예상돼 한국 기업들이 이를 활용한 사업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아세안(ASEAN)은 코로나19를 계기로 글로벌 생산기지인 동시에 소비시장으로 더욱 뚜렷하게 변모해갈 것으로 보인다. 또 올해 1월부터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협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본격 발효돼 아세안에 대한 교역규모가 확대될 전망이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