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72% "코로나 종식 후에도 재택근무 지속 시행"
고용부, ‘2021년 고용영향평가 결과발표회’
재택근무 실시한 기업의 55.5% "코로나 후 첫 시행"
근로자의 3분의 2 이상 "재택근무 원해"...사업체 "우수인력 확보" 기대
AI 초기단계 '고용창출효과'>'대체효과'..."체계적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 필요"
환경부문 활동 종사자, 연평균 2.93% 늘어 2025년엔 52만8000명 수준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를 시행한 기업 중 절반 가량은 코로나 대응을 위해 재택근무를 처음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기업의 열에 일곱 곳 이상은 재택근무로 인한 생산성 차이가 없다고 느껴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 시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재택근무를 시행한 기업의 고용증가율이 미실시 기업보다 높았다.

고용노동부는 16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2021년 고용영향평가 결과보고회’를 열고 올해 20개 과제 중 5개 과제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영향평가는 정부 정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고용친화적인 정책추진을 지원하는 제도다. 2011년부터 매년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책, 사회변화 등에 대한 고용효과를 평가해 정책에 반영한다.

발표에 따르면 재택근무 시행 기업 중 55.5%가 코로나 대응을 위해 재택근무를 처음 실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재택근무를 현재 수준으로 계속 시행하려는 사업체 중 72.3%가 생산성 차이가 없다고 느껴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 시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 종결 후 중단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11.3% 뿐이었다. 특히 2019~2020년 재택근무 미실시 기업 대비 재택근무를 시행한 기업의 고용증가율이 2~3% 높게 나타났다.

3분의2 이상의 근로자가 코로나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하고 싶다고 응답했고, 돌봄 책임이 있는 가정의 기혼근로자와 젊은 층에서 만족도와 수요가 높았다. 사업체는 우수인력 확보, 근로자 이직 방지, 고용안정 등을 주요 효과로 기대했다. 이에 재택근무가 자리잡기 위해선 기업마다 다른 경영환경, 기술특성 등에 맞게 적합직무 분석, 선정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중소기업 대상으로 재택근무제 도입을 위한 컨설팅, IT인프라지원 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봤다.

AI 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도 발표됐다. AI 공급기업 설문 결과, 근로자를 보조해 핵심업무 집중을 지원하거나 근로자가 못하는 일을 수행하기 위해 AI를 도입하는 경우가 인건비 절감을 위한 근로자 대체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 초기단계로 ‘고용창출효과’가 ‘대체효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다만 AI 도입이 확산되면 AI 공급기업 뿐 아니라 도입 기업에서도 AI 프로젝트 관리자 등 인력수요가 발생하는 만큼 체계적인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일부 산업보단 전산업에 걸쳐 AI 도입이 이뤄질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고용노동부 제공]

녹색산업 성장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환경산업 사업체에서 ‘환경부문 활동 종사자’ 인력수요는 2020년 45만7000명 수준에서 연평균 2.93% 증가해 2025년엔 52만8000명 수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연구직, 기술직 등 핵심인력 수요 증가율이 4.42%로 전체 환경산업 인력수요보다 높아 환경산업 성장을 통해 고숙련 인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환경부문 전문인력양성과 사업체의 전문직 채용 지원 등 지원이 필요한 셈이다.

이밖에 유망식품 육성정책을 통한 식품산업의 고용효과는 약 6%로 분석됐다. 이는 2018년 ‘제3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시행 전후로 유망 식품 관련 기업의 고용이 비유망식품 기업 대비 증가한 수치다. 또 향후 유망식품 육성정책을 통해 창출될 고용 효과는 2023년 기준 약 4만9000~5만9000명 수준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반려동물 연관산업 역시 2019~2025년 연평균 5.96~6.41%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정책 지원에 따른 매출 증가(2%)를 가정하면 연평균 6.26~6.76% 수준으로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박화진 고용부 차관은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산업구조 변화가 가속화되고, 정책 환경의 불확실성도 높아지는 상황으로 고용영향평가와 같은 정책연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고용영향평가가 정부 정책이 고용친화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로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