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회사 복귀도 접종도 난항...美CEO들 고충 토로
길어진 ‘O공포’…늦춰지는 일상회복
백신접종 의무화에 내년 사무실 복귀 계획
연방법원 접종 의무화 효력정지에 올스톱
패스틀리 본사 폐쇄·구글 등도 재택근무
“출근 결정땐 이직하겠단 직원 많아” 토로

미국 기업이 코로나19가 만든 불확실성 때문에 대응 전략을 짜는 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힘들다”, “엉망이다”라는 말이 최고경영자(CEO)의 입에서 나올 정도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12일(현지시간) 자국이 코로나19의 새 변이인 오미크론 감염 ‘해일’에 직면했다고 우려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 감염 측면에서 오미크론이 기존 우세종인 델타를 뛰어넘을 거라고 경고하는 등 코로나19 공포로 지구촌이 떨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여명 이상의 기업 경영자에게 확인한 결과,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야기한 혼란스러운 상황 탓에 기업이 직원의 사무실 복귀 일정을 늦추고, 백신 접종 정책을 재고하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이날 보도했다.

클라우스 서비스 제공업체 패스틀리(Fastly)는 원격근무를 도입하고 내년 4월까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본사를 폐쇄했다. 조슈아 빅스비 최고경영자(CEO)는 “기업은 불완전한 정보와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늘어나는 똑같은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며 “힘들다”고 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구글 등은 최근 사무실 복귀 날짜를 연기하거나 재택근무 기간을 연장하는 선택권을 직원에게 줬다. 차량공유 서비스 업체 리프트(Lyft)는 지난주 직원에게 2023년까지 사무실 출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많은 유명 기업은 애초 지난 가을께엔 내년 초 사무실에 복귀한다는 계획을 짰다. 확신을 가질만 한 이유가 있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는 기업, 의료계 종사자, 100인 이상 고용한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1월 18일부터 백신 접종 의무화 정책을 시행키로 한 영향이다.

그러나 암초를 만났다. 조지아주 연방법원이 지난 7일 연방정부 계약자 등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의무화의 효력을 일시 정지시켜서다. 제너럴일렉트릭(GE), 철도회사 유니온퍼시픽 등은 이에 따라 직원에게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는 걸 중단했다.

미 최고 기업 CEO를 대표하는 단체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은 노동부 산하 직업안전보건청(OSHA)에 지난 6일 서한을 보내 기업이 의무를 준수하는 데 필요한 기한을 60일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다고 WSJ는 전했다.

서한은 “연중 가장 바쁜 시기에 내려오는 행정적 과제는 많은 고용주가 이 시기에 대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고 밝혔다.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 상원 원내대표는 최근 WSJ 행사에서 “백신 접종 의무화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며 “직원의 상당수가 일하러 오길 거부할까봐 두려워한다는 얘기를 모든 업계에서 듣고 있기 때문이다. 이건 이미 큰 문제”라고 했다.

일부 기업 CEO는 직원을 화나게 하지 않으려고 직장 정책에 대한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패스틀리의 빅스비 CEO는 “현재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은 팬데믹 이전 계획에 따라 사무실을 다시 열기로 약속한 기업”이라며 “많은 직원이 원격근무를 하고 있고, 회사 복귀를 하게 되면 다른 일을 찾겠다고 했기 때문에 해당 기업 경영진에게 이건 정말 엉망인 상황”이라고 했다.

팻 겔싱어 인텔 CEO는 “솔직히 우린 결코 정상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우린 앞으로 몇 년간 일정 수준의 코로나19와 함께 생활하는 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원 기자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