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U+, 5G 기반 자율주행 무인특장차 개발 동참
광주광역시 관련 전문기업과
‘5G 무인특장차’ 개발 MOU
371시간 무사고 실증도 완료

LG유플러스가 5G(세대) 통신을 기반으로 한 100%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에 공력을 쏟고 있다. 이번에는 무인 저속 특장차 개발에 동참한다.

LG유플러스는 광주광역시 무인 저속 특장차 규제자유특구 내 전문기업들과 함께 ‘5G 기반 무인특장차 자율주행 사업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무인특장차란 노면청소, 생활폐기물 수거, 교통정보 수집 증 공공서비스를 위해 시속 10㎞ 미만의 속도로 자율주행하는 특수목적차량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국내 자율주행은 운전자 탑승이 전제가 됐지만 무인 저속 특장차는 운전자 없이 자율주행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운행 안전을 위해 외부에서 원격제어 및 비상정지 명령을 통해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무인특장차에 5G 이동통신을 연결해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연계기술을 개발해 무인특장차 사업을 확산하기 위해 추진됐다. 사업 발주처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15개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현재 특구 내 사업자들은 평동산업단지, 수완지구, 우치공원 등 다양한 도로에서 총 거리 846.46㎞, 371시간을 무사고 실증을 완료했다. 내년에는 실증지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임방현 LG유플러스 서부기업영업담당(상무)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무인특장자 사업의각 분야별 선도업체가 가진 기술력을 모아 자율주행 관련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LG유플러스의 5G, 다 이나믹맵, 고정밀측위(RTK),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동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사도 “무인특장차 개발 및 실증을 위한 관제센터와 통신 인프라 조성을 완료했으며, 앞으로는 실증 데이터 수집 및 공유, 기술 고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으며, 김경수 아이엠알 대표이사는 “향후 실증지역을 확대하고 기술 개발 및 실증경험을 토대로 전국단위 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로의 확대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림 기자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