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콩고 광산 지배하는 中…“인권 침해·자원 무기화 심각한 우려”
[123RF]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코발트가 풍부한 콩보민주공화국(DRC)을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의 자원 독식이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의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자원 무기화’와 인권 침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는 분위기다.

28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차 대수는 총 130만대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중국의 배터리 제조사 CATL은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약 3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발트 공급업체인 다튼 커모디티스(Darton Commodities)는 지난해 중국 소재의 정유소가 제공한 배터리용 코발트 제공 규모가 전 세계의 85%에 달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전 세계적인 배터리 원재료 경쟁에서 중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중국 기업은 콩고 내 코발트 광산의 70%를 소유하고 있다. 중국 화유 코발트(Huayou Cobalt)가 대표적이다. 광산부터 정유소, 배터리 생산에 이르는 공급망의 모든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광산 벨트를 따라 카지노와 호텔, 영업용 건물에서 중국어를 보는 것도 낯선 풍경이 아니라는 반응도 나온다.

문제는 콩고 현지 노동자를 대하는 중국의 태도가. 가디언은 현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중국 노동자보다 적은 급여를 받고 굴욕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식민지 시대를 떠올리게 하는 억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중국의 지배를 실감한다”는 노동자의 말도 전했다.

인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중국에 대한 시장의 시선도 곱지 않다. 배터리 원재료 공급망을 장악한 중국이 자원을 무기화할 경우 전 세계 생산체계에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도 제기된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수급난의 학습효과 역시 코발트로 전이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이 탄소 중립과 친환경차 보급 전략에 맞춰 배터리 원재료 확보에 열을 올리면서 코발트 가격도 상승세다. 콩고 노동자들의 인권 문제와 중국의 자원 무기화 우려가 고개를 드는 이유다.

가디언은 국제앰네스티의 조사관 마크 더멧(Mark Dummett)의 말을 인용해 “전기차 배터리 원재료의 채굴 과정에서 불거진 인권 문제와 자원 무기화 우려는 앞으로 더 두드러질 것”이라며 “글로벌 공급망이 인권과 환경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산업에 대한 인식은 파괴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