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SK하이닉스, 美 반도체 자료 제출 임박…민감한 정보 빼나 [9일 오전 마감 ‘태풍의 눈’]
TSMCㆍ마이크론 등 민감한 정보 빼고 제출 “삼성·SK하이닉스도 비슷한 수준 전망”
미국 등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가속화
한국자동차연구원 “국내 자동차·반도체 업계 중장기적 대비 필요”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상무부 건물의 모습. [상무부 홈페이지]

[헤럴드경제=양대근·주소현 기자] 미국 정부가 글로벌 주요 반도체 기업과 관계기관에 요청한 반도체 정보 제출 기한(한국시간 9일 오전 11시)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도 공개 수위 등을 놓고 막판까지 고심하는 모습이다.

이번 자료 제출을 기점으로 미국이 자국 중심 반도체 공급망 재편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반도체 업계와 자동차 업계의 중장기적인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TSMC·마이크론 등 민감한 정보 빼고 제출= 8일 미국 상무부 홈페이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23개 기업과 관계기관이 반도체 정보 응답 서식을 제출했다.

당초 고객사와 관련된 정보 제출 거부 의사를 밝혔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인 대만 TSMC가 기존 입장을 뒤집고 자료를 제출했으며, 이외에도 파운드리 업체 UMC와 역시 세계 최대 반도체 패키징·테스트 업체인 ASE 등 대만 반도체 기업들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3위인 미국 마이크론을 비롯해 웨스턴디지털, 오토키니톤, 이솔라 등이 자료를 제출했으며, 이스라엘 파운드리 업체인 타워세미컨덕터도 자료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상무부는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생산능력 ▷제조공정 ▷생산품 ▷고객사 ▷리드타임 ▷제품재고 등 26개 항목에 대해 답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계약상 비밀유지 조항 등 민감한 정보에 대해 비공개하거나 최소화하는 수준으로 자료를 제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타워세미컨덕터는 ‘나스닥 상장사’라는 이유로 고객사 항목에 특정 기업을 기재하지 않았다. ASE는 모든 정보요청 항목에 아무것도 기입하지 않은 채로 응답 서식을 냈으며, 마이크론도 전체 비공개로 자료를 제출했다.

TSMC도 공개된 제출 서류 항목 대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했으며, 추가 자료에 대해서도 ‘제한(restricted)’을 걸고 제출했다. 제한으로 제출된 자료는 상무부 관계자만 열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미국의 이번 자료 요청 목적은 반도체 시장 자체보다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그와 관련된 공급망 점검에 더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서 “미국 쪽도 민감한 정보는 그렇게까지 강하게 요구하지 않은 부분도 있어서, (삼성·SK하이닉스 등에서도) 민감한 정보 공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가속화…“한국도 대비해야”= 현재 미국은 반도체 산업에 대해 국가 안보와 직결되면서, 향후 첨단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반 산업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백악관을 중심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본격 재편하려 하고 있다.

미국의 정책 흐름에 맞춰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대(對)중국 견제 기조를 맞추면서도 역내 동맹을 강화하고 자국 공급망 구조를 효율성 대신 안정성으로 재편하는 등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역내 첨단 반도체 설계·제조 역량 강화 목표로, 지난해 12월 EU 22개 회원국들이 ‘반도체 기술 발전 위한 공동결의안’ 발표했다. 이어 지난 7월 EU 집행위원회는 반도체 쇼티지(공급 부족) 상황 등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해 ‘유럽반도체 산업동맹’을 출범시켰다.

일본과 대만은 밀월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대만 TSMC는 지난달 일본 구마모토현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전체 8조~10조원의 투자액 중 절반에 대해 일본 정부가 지원한다.

대만은 미·중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자국을 반도체 연구개발(R&D) 허브로 만드려는 계획을 세웠다. 일본 미쓰비시 화학·신에쓰 화학공업, 독일 머크 등이 향후 대만에 약 36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일본과 대만의 협력 강화나 EU 역내 반도체 동맹은 모두 차량용 반도체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도 “미국 정부의 이번 자료 요구를 시작으로 향후 제2, 제3의 압박이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면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다만 한국 기업이 차량용 반도체보다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비중이 높은 만큼 단기적인 대응보다는 중장기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이날 ‘차량 반도체 수급난 현황 진단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완성차 등 차량용 반도체 수요 기업은 반도체에 대한 예상 수요 등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국내 공급기업들과 공유해야 한다”며 “반도체 기업은 자동차 업계와의 연대·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개발과 투자에 나서야 하고, 정부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