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팀장시각]가상인간, 혁신인가 거품인가

“이번엔 진짜 사람인 줄. 점점 더 진짜 사람 같아 지는 건가” “앞으로 현실의 휴머노이드(인간 신체와 유사한 로봇)가 될지도”.

가상인간 ‘로지’의 SNS 게시물에 최근 달린 댓글이다. 댓글 대부분은 로지의 외모와 패션감각을 칭찬하는 평가다. 그중 로지와 인간과의 동질감을 표현한 반응도 눈에 띈다. 가상인간을 그저 ‘신기한 존재’에서 ‘공존하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다.

로지는 지난해 8월 첫 공개 후 1년 만에 금융, 의류, 화장품, 엔터테인먼트 등 각종 분야에서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올해만 로지가 거둔 이익은 10억원에 달한다.

가상인간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캐릭터도 로지를 비롯해 LG전자 ‘래아’, 롯데홈쇼핑 ‘루시’, 스마일게이트 ‘유아’, 온마인드 ‘수아’, 펄스나인 ‘다인’ 등 다양하게 등장하며 벌써부터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의 ‘릴 미켈라’는 지난해 13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일본의 대표적 가상인간 ‘이마’는 지난달 도쿄패럴림픽 폐막식에 등장하면서 영향력을 과시했다. 미국 마케팅 분석회사 하이프오디터는 가상인간을 활용한 마케팅시장이 지난해부터 32.5%씩 성장해 2022년 16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상인간시장 확대를 뒷받침하는 것은 우선 기술력이다. 주로 ‘디지털 더블’이라는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적용된다. 특정 얼굴에 AI(인공지능)가 만든 가상의 얼굴을 입히는 방식이다. 수백대의 3D(3차원) 카메라로 가상얼굴을 입힐 사람의 얼굴 형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3D모델링’과 진짜 사람처럼 움직이고 표정을 짓도록 얼굴근육 움직임을 분석하는 ‘구조 분석’ 등이 활용된다.

일반 대중으로부터 친근감을 확보한 점도 주요인이다. 일본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만든 ‘불쾌한 골짜기’ 이론도 아직은 크게 해당되지 않고 있다. 이 이론은 기술발전이 너무 가팔라서 인간과의 유사성이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호감보다 거부감이 커진다는 개념이다. 반면 현재의 가상인간에게는 대중의 긍정적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관건은 이제 막 열린 가상인간시장의 지속 가능 여부다. 젊고 빼어난 외모의 여성 중심으로 설정되고 있는 가상인간이 이 틀 안에 갇힌다면 이들의 활용 범위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미 외모가 가상인간을 평가하는 주요 잣대가 되기도 했다. 실제 중국 가상인간 ‘앤지’를 두고 대중이 피부나 체형 등의 외모 지적을 쏟아냈다. 로지를 향해 일부 ‘촌스럽다’는 혹평도 있었다.

가상인간이 실제 인간과 교류 밀도를 높이면 과거 AI챗봇 ‘이루다’처럼 더 큰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앞서 이루다는 사용자로부터 성적 대상으로 취급받는 문제가 불거지면서 ‘AI윤리’ 중요성은 더욱 커진 바 있다.

인간 현실에 진입하는 가상인간을 구분하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인도는 이미 광고에서 가상인간을 명시하는 규제를 내놓았다. 실제 인간과 선을 긋겠다는 의도다.

이 같은 잠재적 제약 속에서 핵심은 분명한 철학과 정체성을 갖고 인간과 가상인간이 상호작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 유행에 편승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가상인간 열풍은 거품에 그칠 수밖에 없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