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물가, 10월 3%대 급등 가능성...내수 위축 불가피 [韓경제 3대 리스크 초비상]
두바이유 15일 배럴당 82.99달러...환율 감안한 체감 유가 95달러 수준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무섭게 치솟는 물가가 우리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에너지 가격 상승이 겹치면서 연간 1.8%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했던 정부도 10월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를 상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소득이 줄어든 각 가계는 치솟은 물가에 허리띠를 더욱 졸라 맬 수밖에 없다. 되살아나던 내수가 위축될 경우 정부가 목표한 연간 4%대 성장 역시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8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 6일 배럴당 80달러대(80.55달러)에 처음 진입한 두바이유는 지난 15일 전거래일 대비 0.71% 상승한 배럴당 82.99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 10월 4일 84.44달러를 기록한 이후 3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 최근엔 '국제유가 강세=달러화 약세'라는 기존 공식마저 통하지 않게 되면서 체감 유가는 배럴당 95달러 하던 지난 2014년 9월 수준까지 치솟았다는 분석도 있다. 유가에 불이 붙은 가운데 환율이 기름을 뿌리는 격이다.

문제는 유가의 영향력이다. 유가는 다양한 상품의 가격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 원재료 성격이 강하지만 정부로선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의 변수다. 유일한 카드가 유류세 인하지만, 정부는 "유류세 인하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다만 정부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크게 넘어섰던 2008년 유가환급금·보조금을 지급한 바 있다.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넘어섰던 2018년~2019년에도 유류세를 인하한 바 있다. 당시 유류세 인하 폭은 7·15%이었다.

정부는 물가 관리 목표만 지속적으로 상향하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 5일 국정감사에서 연간 1.8% 소비자물가 상승률 달성이 어렵다고 말했고, 지난 13일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웃돌 것이라고 했다. 이어 15일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를 통해 "(10월 물가상승률의)3%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전망이 현실화 되면 2012년 2월(3.0%) 이후 10년 만에 '3%대 물가' 시대를 맞게 된다.

각 가계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지난 2분기 전국가구(1인 이상·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28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7% 줄었다. 가계소득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17년 2분기(-0.5%) 이후 16분기 만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소득이 감소한 상황에서 물가까지 치솟으면 각 가계의 실질소득(명목소득-물가상승률)은 더욱 감소한다.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다. 2분기 경제성장률 0.8% 중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2.5%포인트(p)에 달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수입 가격이 오르면 결국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서 “원자재나 유가 상승은 경제 회복에 상당한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