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도체 공급난 대비한 도요타마저 감산…공급망 고도화를”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동향 보고서
기아 오토랜드 생산라인 모습. [기아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을 예방하기 위해 공급망 관리 시스템의 고도화와 지정학적 요소를 고려한 부품 생태계로 재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8일 공개한 산업 동향 보고서에서 1차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을 자체 위기 대응 시스템으로 극복한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2차 공급난을 맞아 최근 감산에 들어간 사례를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자동차 업계는 수요예측 실패·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부족 등으로 올해 상반기 1차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 이어 최근 2차로 충격이 심화했다.

특히 반도체 후공정이 집중된 말레이시아는 올해 6월 전국 봉쇄령 이후 공장 셧다운을 반복 중이다. 베트남과 태국의 반도체 생산 공장도 마찬가지다.

연구원은 차량용 반도체가 소량 생산, 신뢰성 검증 등으로 공급의 유연성이 적어 자동차 업계에 주는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실제 대표적인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는 지난달 작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00만대가 판매돼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2차 반도체 공급난이 닥치면서 자동차 업계는 1차 공급난 당시 위험 관리와 대체품 생산 프로세스로 증산에 성공한 도요타의 대응에 주목했다.

도요타는 수년간 위기 대응 시스템을 토대로 부품 공급망을 개선했다. 외부적으로는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일본 르네사스, 대만 TSMC 등 반도체업체와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대체품에 대한 평가 시스템도 고도화했다. 신속한 대체품 생산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이어 신규 제품 검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자동차 부품 공급에 유연성을 확보했다.

공급망 측면에서는 반도체 협력사들이 재고 비중을 늘렸다. 모든 부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급망 정보시스템 ‘레스큐’도 개발됐다.

도요타는 이런 시스템과 공급망 재편으로 1차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도 올해 상반기 약 500만대를 판매했다. 상위 5개 기업 중 작년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그러나 도요타도 2차 공급난의 파고는 피하지 못했다. 수급난이 길어지면서 재고가 바닥났고, 동남아에 집중된 산업 구조 탓에 공급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도요타는 지난달 월 생산량의 40%인 40만대를 감산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기업을 육성해 국내에서 통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와 지역, 기업 간 전략을 모두 고려한 부품 공급망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홍창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공급 위기시 우선협력이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육성해 그 기업과 직접적 협력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며 “위기 대응을 우선순위로 해서 지정학적 요소를 반영한 공급망 재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