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기술,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해야”
자동차산업발전포럼…정만기 회장 “글로벌 경쟁 격화”
업계, 제휴로 자금·기술 부담 줄여…스마트 역량 관건
새 서비스 모델 발굴도 시급…“국가 차원의 투자 절실”
현대차그룹의 인공지능 기반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 이미지.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국가전략기술에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기술을 포함해 연구·개발(R&D)와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KAIA) 회장은 15일 ‘자율주행차 핵심기술과 인력 확보방안’을 주제로 한 제18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미국과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국가·기업 간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회장은 “규제에서 자유롭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는 미국과 중국에서 구글 등 빅테크 기업과 GM, 현대, 폭스바겐 등 자동차 기업들이 2018년부터 로보택시를 개발하고 시범 서비스를 진행 중”이라며 “국내도 경쟁국 대비 동등한 여건을 조성해 자율주행차가 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세제, 인력 양성,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지난 6월 발표한 국가전략기술에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핵심기술이 제외된 것은 문제”라며 “자율주행차의 핵심인 인공지능(AI)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활용한 고급 인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율주행 시범운행 지구 확대와 네거티브 규제의 전환, 자율주행차에서 취득하는 영상정보 활용 등 규제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자율주행차는 초융합·초연결·초지능으로 전통적인 완성차 업체의 기술과 거리가 있어 전략적 제휴, 오픈 이노베이션을 얼마나 잘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고 본부장은 “우버 등은 투자 부담으로 사업을 포기했고, GM·혼다·폭스바겐·포드는 제휴를 통해 자금과 기술 부담을 공유하고 있다”며 “스마트 역량이 출중한 한국이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에서 시장을 선점한 것처럼 자율주행 부문에서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문식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센터장은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이 모빌리티 산업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해외보다 부품-시스템 개발과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가 미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국내 핵심부품 기술력은 50~90% 수준이지만, 국산화율은 레이더 65%, 인공지능(소프트웨어)는 38%로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김 센터장은 “자율주행은 다양한 산업의 융합기술이 필요한 분야로 다종의 차량 플랫폼, 고성능 컴퓨팅 모듈 및 아키텍처, 안전제어기술 및 복잡한 주행 시나리오에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 모델이 필요해 국가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산업 측면에서는 생태계의 전환과 융합 촉진이, 서비스 측면에서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창출이, 실증 측면에서는 사업 실증을 통한 수요자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현대차가 모셔널과 공동 개발한 아이오닉5 로보택시. [현대차 제공]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