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증시, 고용 보고서 발표 앞두고 오름세…S&P500 다시 최고치 경신 [인더머니]
다우 0.78%올라…S&P500·나스닥 지수, 각각 0.60%·0.78% 상승
[로이터]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미국뉴욕증시의 주요지수는 7월 고용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주간 실업 지표가 개선되면서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71.58포인트(0.78%) 오른 3만5064.2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전날보다 26.44포인트(0.60%) 상승한 4429.10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역시 114.58포인트(0.78%) 오른 1만4895.12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또다시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주식시장은 주간 실업 지표와 국채금리 움직임, 다음날 나올 고용 보고서 등을 주시하는 분위기였다.

주간 실업 지표는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38만5000명으로 전주 대비 1만4000명 줄었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와 동일하다.

코로나19 델타 변이의 확산에도 미국의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 수는 2주 연속 감소했다.

연속으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이들은 293만명을 기록해 2020년 3월 14일 이후 처음으로 30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고용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지만, 앞서 발표된 7월 민간 고용이 예상치의 절반인 33만명에 그치면서 7월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에 대한 눈높이는 낮아진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7월 비농업 신규 고용 예상치는 84만5000명이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1.16% 수준까지 떨어졌으나 지표 발표 이후 1.21%대로 회복했다. 전날 10년물 금리는 1.13%까지 떨어졌다.

금리 하락은 기술주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델타 변이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심화하는 점은 증시에도 부담이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S&P500지수 전망치를 기존 4300에서 4700으로 상향했다. 상장 기업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과 예상보다 낮아진 금리로 인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미국의 감원 계획은 크게 줄었다. 챌린저, 그레이 앤 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7월 감원 계획은 전월보다 7.49% 줄어든 1만894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6월에 1만7241명을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을 경신한 수치다.

지난 6월 미국의 무역적자는 예상보다 많이 늘어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상무부가 발표한 6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48억달러(6.7%) 증가한 757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이전 역대 최대 규모였던 3월의 750억달러를 웃도는 수치로 전문가의 전망치인 742억달러보다도 많았다.

영란은행(BOE)은 이날 기준금리와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동결했으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4%까지 오르겠지만, 중기적으로는 목표치인 2%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실적이 탄탄해 주가가 강한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캐롤라인 시몬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실적 데이터가 매우 강하다”며 주가지수가 내년까지 5~10%가량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노동시장의 계속된 약세 신호로 인해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당장은 자산 매입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보류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통화 긴축은 상대적으로 점진적이고, 잘 안내가 될 것이라며 이 경우 증시는 테이퍼링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