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홍빈 조난 목격한 산악인 15인 외면, 무전 보고도 안 해”
김홍빈 대장 1차 조난 때 도왔던 러시아 구조대원 2명 충격 증언
대처할 수 있었던 인재(人災) 가능성…사실로 드러날 경우 큰 파장
러시아 산악인 비탈리 라조가 지난 19일(현지시각) 브로드피크 정상 아래 해발 7900m 지점에서 조난당한 김홍빈 대장을 도우러 온뒤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라조는 김 대장이 사진을 찍은 뒤 10분 후 로프를 타고 오르다 벼랑 아래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비탈리 라조 SNS 캡처]

[헤럴드경제=조용직 기자] 지난 18일 히말라야 브로드피크(8047m)에 등정에 성공한 뒤 하산중 사고를 당한 김홍빈(57) 대장의 조난·실종 사건이 인재(人災)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 전락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그의 조난을 15인 이상의 해외 산악인이 목격했으나 모두 외면했을 뿐만 아니라, 구조 신호를 보내는 일조차 외면했다는 증언이 제기됐다. 특히 같은 장소에서 거의 동시에 조난된 러시아 산악인은 구했으면서 수미터 옆에 있던 김 대장은 구조하지 않은 정황도 드러났다. 이 같은 몰상식적이고 비인류애적인 처사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큰 파장이 일 전망이다.

김홍빈 대장은 하산 중 총 두번 절벽으로 추락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첫 추락 때 그를 도왔던 등반대 데스존프리라이드(DZF)의 산악인 비탈리 라조(48·러시아)가 산악·탐험 전문 웹진 ‘익스플로러웹’과 SNS를 통해 이를 폭로했다.

그는 “최소 15명 이상의 사람이 김 대장을 무시하고 지나쳤다. 어두웠다지만 김 대장의 랜턴 불빛을 보지 못했을 리 없다”라며 “김 대장을 끌어올릴 힘이 없었다고 한다면 받아들이겠다. 하지만 최소한 사고 상황을 무전기나 인리치(구조 신호를 보내는 장치)를 통해 알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산악인을 겨냥해 “SNS에서는 당신들이 8000m 고봉을 등정한 용감한 사람으로 보일 테지만 나는 그저 사람의 목숨을 경시한 미천한 인간이라 말하고 싶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라조는 데스존프리라이드 인스타그램에 글을 남기면서 구조 현장에서 김 대장과 찍은 사진도 공개했다. 사진 속 김 대장의 모습은 해발 7900m 지점에서 9시간 넘게 고립돼 있었지만 건강한 상태로 보인다.

라조 등 구조대원들과 김 대장의 포터인 후세인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1차 추락을 당한 뒤 구하러 내려온 라조의 도움으로 주마(등강기)를 사용해 사고 지점을 벗어나려고 했고, 이 과정에서 주마에 문제가 생겨 80도 경사의 가파른 절벽 밑으로 2차 추락했다.

라조는 김 대장과 같은 장소에서 조난됐다가 먼저 구조된 여성 산악인 아나스타샤 루노바(러시아)의 대처에 대해서도 강하게 문제삼았다.

라조는 “아나스타샤, 당신의 인리치는 제대로 작동했다. 인리치로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다면 그 장치를 김 대장에게 남겨주고 떠나야 했다. 도움을 기다리는 김 대장을 위해 구조 문자라도 보냈어야 했다”며 실명을 거론하며 비난을 퍼부었다.

라조와 함께 김 대장 구조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 안톤 푸고프킨도 “(등반가들의 구조 외면이) 메스꺼운 일”이라고 비난하면서 라조와 같은 맥락의 내용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진술했다.

그에 따르면 ▷김 대장은 아나스타샤와 같은 장소에 조난 당했고, 조난은 7월 18일 오후 5시부터 7시사이에 일어난 일이다. ▷아나스타샤는 오후 7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 끌어올려졌고, 하산했다. 하지만 김홍빈 대장을 끌어올리려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김홍빈 대장의 조난 상황은 17명(아나스타샤와 그를 구한 팀동료 오스왈드 포함)이 보고도 그냥 지나쳤다. ▷김 대장의 포터 후세인은 밤 11시까지 지나가는 사람들을 붙잡고 김홍빈 대장을 도와달라고, 끌어올려달라고 부탁했다. ▷김 대장의 조난 정보는 7월 19일 새벽 4시에 베이스캠프에 전달됐다.

라조가 포터 후세인에게 들은 바도 같다. 먼저 아나스타샤를 구하고 난 뒤 힘이 다 빠져 김 대장을 끌어올릴 힘이 없었던 후세인은 울면서 지나는 등반가들에게 도와달라고 부탁했으나 “그 잘난 등반 영웅들”은 하나같이 그냥 지나쳐갔다는 것이다.

김 대장을 남겨둔 채 홀로 구조된 아나스타샤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김 대장이 자신의 뒤에서 등반하는 것을 알고 있었고, 자신이 조난지역에서 빠져나오기 몇 분 전 다시 김 대장이 자신의 옆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그러나 “그 순간 김 대장이 나를 구하기 위해 절벽으로 내려온 걸로 생각했다”면서 또 “거길 빠져나온 후 저체온증에 탈진상태여서 밤 사이 얼어죽지 않기 위해서는 남은 체력을 모두 쏟아 캠프3까지 하산하는 데 집중해야 했다”고 진술했다. 이는 다른 조난자를 위한 조치를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 대비한 방어적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건에 대해 등정팀 동료였던 아나스타샤의 조난을 발견하고 그를 구했다는 산악인 오스왈드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밤 10시까지 그녀를 구하는 데 시간을 썼고, 약간의 동상을 입은 그녀를 데리고 하산했다고만 밝혔다. 같은 장소에서 조난을 당한 김 대장을 왜 구하지 않고 하산했는지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한편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구조대 헬기 1대가 김 대장의 실종 추정 지점(7400m) 상공에서 6회 순회 수색을 벌였다. 하지만 김 대장을 육안으로 확인하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 1시 49분 구조대 헬기가 베이스캠프에서 김 대장 조난 당시 구조에 나선 러시아 산악인을 태우고 실종 추정 지점으로 출발했다.헬기는 김 대장을 찾지 못하고 이날 오후 3시 5분 베이스캠프로 돌아왔다. 캠프에서는 촬영한 영상을 판독하고 있다.

yj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