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즈 인사이트]부담스러운 ‘ESG경영’···가치창출 도구 돼야
사회책임·지배구조만 강조 경영간섭 소지···비용 증가 우려도 
전문가들 “기업주도 기준 세우고 평가…가치창출 도구 돼야”

 

산업계에 ‘ESG바람’이 거세지만 중견·중소기업들에는 적지 않은 부담으로 다가온다. 코로나19로 영업·재무요인 관리도 힘에 부치는데 비재무적 요인에 대한 느닷없는 요구란 생뚱스럽다. 음모론적으로 이해하려는 시각도 있다. 한 세대 전 개도국 산업을 견제하려던 다자간 협상(OO라운드) 일종으로 보는 견해가 그것이다.

각설하고, 일단 환경·사회·지배구조 3가지를 모두 충족시키라는 각 정부와 투자기관들의 요구는 경영간섭으로 받아들여지기 쉽다. 지배구조와 사회공헌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는 경영의 발목을 잡으려는 의도로 오해될 수도 있다.

환경의 중요성은 충분히 이해된다. 작금의 기후위기나 신종바이러스 창궐, 미세플라스틱 공포 등 직접적인 고통을 받는 현실이 됐기 때문이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도 수긍이 간다. 그러나 기업들은 정부의 과속을 우려한다. 중견·중소기업들로서는 쏟아지는 국내·외 의제를 숙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데도 벅차다.

실제 중소벤처진흥공단의 지난달 조사에서 ESG 중 가장 준비가 어려워하는 분야는 환경(47.7%). 이어 사회(32.8%), 지배구조(15.1%). 특히, 온실가스 저감과 자원소비 절감 부문에서 계획수립과 실천을 어려워 했다.

또 중견기업연합회의 6월 조사에서 중견기업들은 업무량과 비용 증가를 가장(47.5%) 우려했다. ESG경영을 하고 싶어도 돈 문제가 걸린다는 소리다. 또 개념·범위가 모호하며(19.8%), 평가방식도 기관별로 상이한 점(17.8%)을 애로로 꼽았다. 아직 공신력 있는 ESG 평가기준이 없다는 소리다.

중진공 조사도 톤은 별반 다르지 않다. 중소기업들은 ESG경영 도입 때 비용(37.0%), 전문인력(22.7%), 가이드라인 부재(16.3%)를 부담으로 들었다. 왜 도입해야 하는지 모르는 확신부족(10.0%)도 있었다.

대기업과 거래하지 않는 중견·중소기업들의 부담은 더 크다. 대기업의 자원관리 범위 밖에 있는 탓이다. 또 대기업들은 신규 협력사 선정 때 ESG 수준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이들에는 정책적 지원이나 인센티브가 요구된다.

어쨌거나 ESG는 피해갈 수 없는 비재무 관리요소가 됐다. 경영전략 수립 때부터 ESG가 반영돼야 한다는 뜻이다. 과격하지만 아마존이나 애플, 구글에선 ‘RE100 캠페인’을 시작했다.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제품을 생산하지 않을 경우 거래를 끊기게 된다. 상품교역에서도 환경·사회적 공헌도가 높은 기업을 우대하고 그렇지 못한 기업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기업들은 ESG를 하면 사업이 되고 수익을 낼 수 있다는 확신이 아직 없는 상태. 최소한 기업성장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작동돼서는 안 된다. 지속가능한 경영의 길잡이나 마중물이 돼야 한다는 게 중견·중소기업들의 바람이다.

유창조 교수(동국대)는 “ESG는 기업의 가치와 이윤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그것이 본질이 되려면 기업주도 기준의 ESG가 돼야 한다”고 했다.

조문술 기자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