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래차 전환 대응역량 부족…전문인력 양성해야”
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
현대차 아산공장 차체라인 모습.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 정찬수 기자] 전 세계 자동차 산업 구조가 미래차로 전환하는 가운데 국내 업계의 대응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력 수급·양성 문제 해결을 위한 인적 자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9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친환경차 판매는 전체 신차 판매의 20∼30%(약 577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차는 신차 판매의 49%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자동차 산업의 핵심 부가가치 창출 영역은 내연기관차에 들어가는 엔진과 구동장치에서 전장 부품과 이차전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 중이다.

연구원은 독일 컨설팅 기업 롤랜드버거의 연구를 인용해 자동차 업계의 생산 비용에서 전장 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16%에서 2025년 35%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연기관 부품 산업의 경우 국산화율이 99%에 달하지만, 미래차 부품은 국산화율이 전기차 68%, 수소차 71%,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38% 등으로 낮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연구원은 미래차 연구개발(R&D)에 필요한 인적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 산업의 기술인력 수요가 연평균 5.8%씩 증가해 2028년 8만9069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지난해 자동차 부품산업 인력 실태 조사에 따르면 미래차 분야 육성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는 전문인력의 부족(21.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자동차 산업 선도 기업과 주요 국가들은 미래차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미래차 분야의 핵심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일본 혼다는 5년간 미국에서 5만명의 인력을 재교육했다. 미국 포드는 프로그래머 인력을 현재 300명에서 4000명 이상까지 육성할 예정이다.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도 미래차 인력을 현재 40명에서 2000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가별로는 2019년 기준 미국 친환경차 인력이 25만명,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력이 2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독일은 자동차 엔지니어가 12만6000명에 달했다.

반면 2018년 기준 국내 친환경차 인력은 4만2000명에 불과했다. R&D·설계·디자인·시험평가 인력은 2만1000명, 소프트웨어 인력은 1000명에 그쳤다.

이지형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원은 “미래차 분야의 석·박사급 신규 인력을 양성하는 등 인적 자원과 관련한 지원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재직자의 직무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AI) 등의 업종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학 연계 교육 등을 지원하고, 미래차 관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 훈련 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