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학 R&D 투자·인프라 부족...경쟁력 강화 새 지원방식 절실”
국가R&D 정책포럼 전문가 제언
김승환 포스텍 교수가 8일 열린 ‘대학 연구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R&D 정책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패널토의에 나선 정부, 대학, 학술단체 전문가들이 대학 연구지원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코로나 팬더믹 확산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 연구개발(R&D) 경쟁이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투자방식 변화와 함께 연구 인프라 구축을 확대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도 쏟아졌다.

김승환 포항공대 교수는 8일 한국연구재단이 개최한 ‘대학 연구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R&D 정책포럼’ 주제발표에서 “국내 대학은 인프라 부족, 인력양성 활용, 투자가 미흡한 상황에 빠져있다”면서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강화하려면 개별상황을 고려한 자율적 인프라 구축과 새로운 지원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주요 선진국에서는 불필요한 규제를 제거하고 블록펀딩으로 예산을 배포하고 연구수월성 방식을 추가하는 방식의 대학연구를 지원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연구자율성을 강화하고 연구비 집행 유연성, 지속가능성, 인력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학 연구플랫폼 구축이 성공하려면 예산 지원을 확대하고 인력 고용 안정성, 대학 특성에 맞는 높은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개발한 영국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와 같은 중점연구소를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원화 경북대학교 총장은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지역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우수인재 유출로 인한 연구기능이 악화되면서 신규 연구개발비 확보가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져있다”고 지역대학 연구개발 문제점을 진단했다.

홍 총장은 “지역대학의 경쟁력 상실은 국가경쟁력 악화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연구개발비 지원 확대와 배분제도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지역대학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지역대학 연구비 배분 확대,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비 지원방식 변경, 지역혁신체계 구축 및 활성화, 과학기술 정부출연기관의 지역 이전, 대학연구소 활성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정부와 대학, 학술단체 등 각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토론에서는 대학 연구지원의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전환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지역대학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연구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개편해 나가야 한다는 현실적 대안도 제시됐다.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은 “개별 연구실에서 소진되는 경쟁적 연구비만으로는 대학의 연구 인프라를 절대로 구축할 수 없다”면서 “대학의 15만명의 고급 인력들이 미래를 책임질 지식을 창출하고 혁신을 일으킬 주체로서 역량을 발휘하도록 연구 인프라가 선진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