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바이든, 백신·반도체 ‘경제동맹’ 강화…대중·대북 공조 ‘업그레이드’
文 대통령 한미정상회담 끝내고 귀국
두 정상, 백신· 반도체, 북한·중국 주고 받아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워싱턴 공동취재단·서울 박병국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을 포함한 3박 5일간의 방미 일정을 23일 마무리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외교를 통해 반도체·배터리 투자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협력 등을 주고 받으며 양국의 ‘경제동맹’을 한층 강화했다. 중국과 북한을 두고 얽혀 있던 한미 양국의 입장 차이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됐다. 두 정상이 발표한 공동성명서에는 한국 정부가 원했던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합의’ 등이 명시됐고, 바이든 미 행정부의 요구와 입장을 반영한 대만 해협도 의제로 언급됐다.

우선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오랜 ‘혈맹’으로서 안보·민주주의 가치 동맹이라는 점을 재확인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기술공급망과 관련해 경제 동맹을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은 한국 기업의 미국내 반도체·배터리 투자를 얻어냈고, 한국으로선 글로벌 백신 허브로 가는 발판을 마련했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내놓은 공동성명을 통해 “전염병 공동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혈맹으로 미국군과 접촉하는 한국군 55만명에게 백신을 제공하겠다고 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사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는 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반도체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도 강화됐다. 두 정상은 “우리는 반도체, 친환경 전기차 배터리, 전략·핵심 원료, 의약품 등과 같은 우선순위 부문을 포함해 우리의 공급망 내 회복력 향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직전 주재한 ‘한미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에서는 삼성전자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도 발표됐다. 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화상회의를 통해 삼섬전자 등에 요청한 것이다. 한미 양국의 대중, 대북 정책도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변화를 맞게 됐다.

두 정상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2018년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공동성명 등 기존의 남북미간 외교와 대화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이루는데 필수적으로라는 공동의 믿음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숙원인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공동성명서에는 중국의 부상을 막고자 하는 미국의 바램도 포함됐다.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이 강조됐고, ‘남중국해 및 여타 지역에서 평화와 안정’이 공동성명서에 적시됐다. 미국이 중국의 부상을 막기 위해 구성한 ‘쿼드 협의체’도 포함됐다. 미중 패권경쟁 속에 애매한 입장을 보여왔던 우리 정부가 미중 양국간 일부 현안을 직접 거론하면서 불확실성을 다소 제거했다는 평이다. 미중 사이에서 등거리를 외교를 펼치던 한국이 이번 정상회담 행보에선 미국 측으로 기운 모습을 보였다는 풀이도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마스크 없이 진행됐다. 두 정상은 회담 내내 ‘거리두기’ 없이 맨 얼굴을 맞댔다. 주먹 인사 대신 맨손 악수를 나누기도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