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본혁의 현장에서] 초라한 韓 우주개발 현주소

지난달 우리나라에서 인공위성기술을 배운 아랍에미리트(UAE)의 화성탐사선 ‘아말’이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곧바로 중국 화성탐사선 ‘톈원1호’도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한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도 화성 탐사로버 ‘퍼서비어런스’를 화성 표면에 착륙시켜 토양시료를 지구로 가져온다는 야심 찬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우주를 무대로 한 전 세계적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는 지난 1960년대부터 우주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후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 후발주자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면서 자체적인 우주기술을 확보한 상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은 어떨까? 국내 인공위성기술은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발전했지만 발사체 분야에서는 아직 부족한 상태다. 올해 말 발사를 목표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개발이 기대되는 이유다. 하지만 약 23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국내 달 탐사사업은 정치논리에 매몰되면서 연기를 거듭하고 있다. 실제 지난 10년간 수립됐던 한국형 달 탐사계획은 4차례나 변경됐다. 애초 일선 연구현장에서는 2023년 달 궤도선, 2025년 달 탐사선 발사를 제안했지만 박근혜 정부에서는 달 궤도선 2017년, 달 착륙선 2020년으로 무리한 변경을 시도하기도 했다. 핵심 기술도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발사 목표 연도부터 정해놓고 연구개발을 밀어붙이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해 9월에는 올 12월 예정이던 달 궤도선 발사를 19개월 연장해 2022년 7월로 발사하기로 재조정했다. 탑재체 등을 포함한 로켓 총중량을 애초 계획에 맞출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 때문이다.

현재 한국형발사체 개발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의 전신인 나로호 역시 대한항공과 한화·두원중공업 등 150여개 민간기업이 참여하기는 했지만 항우연이 개발과 발사 운영을 총괄했다. 이처럼 연구부터 개발까지 정부 중심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 민간업체들이 중심이 되는 우주산업체 생태계에는 부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에서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중소 벤처기업들의 참여도 중요하지만 탄탄한 자금력과 연구개발인력을 갖춘 대기업의 참여가 필수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 등이 우주개발에 뛰어든 상태지만 삼성, LG, SK, 현대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투자 대비 불확실성에 대한 이유로 참여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우주선진국들과 달리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산업체 육성 지원이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것과 현장에서 요구하는 우주 개발을 위한 컨트롤타워 부재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국방 분야와 직결된 우주기술은 선진국의 도움을 받아 기술을 축적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결국 적극적인 투자가 동반된 ‘기술 자립화’만이 해답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