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과 기후예측

세계 도처에서 빈발하는 폭염, 가뭄, 산불, 태풍과 같은 기상재해의 증가는 산업혁명 이후 지탱해왔던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경제 체제에 대해 대자연이 보내는 경고의 시그널이다. 파리협정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적용되는 신기후 체제에 맞춰 우리 정부는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기후위기라는 두 개의 거대한 변화에 코로나 사태까지 더해져 탄소 중립이 과연 실현 가능한지에 대한 실천적 해답을 내는 것은 이제 과학기술계의 엄중한 책임이 되고 있다.

기후예측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기후예측은 50년, 100년 이후의 기후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관한 불확실한 정보보다는 짧게는 1개월 후에서 길게는 다음 계절까지 날씨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장기 예측기술을 말한다. 기후변화가 심화될수록 전통적 방식으로는 기후예측이 점점 더 어려워지며, 이제 기후는 오일·환율 등의 전통적인 리스크를 넘어 우리 경제에 가장 중요한 리스크가 되고 있다.

우리는 기후정보와 장기 예측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막대한 부가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에 점점 취약해지는 상·하수도관, 철도, 공항, 댐과 저수지 등 사회 핵심 기반시설 관리에 디지털 트윈기술을 접목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기후정보와 장기 예측을 반영해 안전사고 발생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정확도 높은 기후예측 정보를 활용한다면 기후·대기·에너지 통합관리 체계가 가능해지며,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대다수 선진국은 기후변화 정책에서 기후예측기술 분야를 매우 시급히 발전해야 하는 분야로 인식하고 1~3개월 범위의 기후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지구 시스템 모델 기반의 차세대 기후예측 모델 개발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다. 최근 IBM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빅데이터 기반의 기후예측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것은 이러한 기후예측산업의 막대한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기상·기후 정보의 가치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7년 기준 기상·기후산업의 매출 규모는 원화로 환산하면 8조원 규모에 달한다. 2016~2017년 유럽 28개 국가의 기상·기후산업 매출은 17조원 정도 규모로, 미국의 2배 이상이다.

반면 우리나라 기상·기후산업은 2019년 기준 4800억원 정도로, 우리나라 경제 규모를 EU의 10분의 1가량으로 어림하더라도 기상·기후산업의 시장 규모는 앞으로 3배 이상 성장가능성이 있다. 유럽 시장에서 우리가 특히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전통적인 기상 서비스보다는 장기 예보 등의 기후예측 서비스 비율이 55% 이상 높다는 것이다. 수요처는 주로 건설, 친환경 에너지, 정부 지자체 공공부문, 보험·재보험 등의 금융업, 방송과 언론, 자원 탐사 부문으로 매우 광범위하다. 반면 우리나라의 수요는 아직 단기 기상예보기술에 편중돼 있어 향후 기후예측산업의 성장 잠재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기후예측기술에 획기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외협력처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