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시장 출마설 강기정 “무안에 공항신도시 건설하자”
강기정 전 청와대정무수석. [헤럴드DB]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오는 2022년 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 도전이 거론되는 강기정(56·사진) 전 청와대정무수석이 광주 군공항의 무안국제공항으로의 이전해법으로 통합공항 빅딜 5대방향을 제안했다.

강 전 수석은 23일 ‘광주·전남의 상생발전, 통합 공항을 시작으로’라는 주제의 온라인 토론회에서 “무안공항의 국제선과 광주공항의 국내선 그리고 광주 군 공항을 한 곳으로 통합해 국제 관문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광주 군·민간 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통합하고 무안을 ‘공항 도시’로 조성해 국토서남권 공항 거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5개방향은 ▷광주 군공항과 민간공항의 동시이전 ▷국내선과 국제선 통합 ▷군공항 규모 국방부 계획대비 0.7배 축소 ▷소음피해 최소화를 위한 완충지역 7배 확대 ▷무안 공항도시 1000만평의 광주·전남 공동개발 방안이다.

강 전 수석은 “무안·광주통합공항의 건설추진을 위해서는 광주와 무안(전남), 국방부가 각자의 영역에서 작은 양보를 통해 더 큰 이익을 얻는 빅딜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며 “무안공항이 군공항을 이전받고 통합공항 248만평과 완충지역 752만평 총 1000만평 규모의 공항도시를 건설하면 상생할 수 있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광주시는 민간 공항 이전으로 완충 지역을 무안군에 확보해 주고, 현재의 광주공항 부지에는 미래형 신도시를 개발해 이익을 공유하며 국방부는 계획 대비 군 공항 규모가 줄어들지만, 서남권 전략 요충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토론회에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구상은 광주공항(민간+군공항) 동시 이전을 전제로 2021년 조건없이 무안공항으로 이전하려는 광주시의 계획에 무안군이 민간공항만 수용하겠다면서 틀어진 사안으로, 강 전 수석의 동시 이전안이 광주시의 종전구상과 차이점이 없다는 평가다.

앞서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2018년 8월 광주공항을 폐쇄하고 2021년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키로 합의했으나, 무안군과 전남도에서 소음피해를 이유로 군공항의 무안이전을 반대하고 나서면서 실타래가 꼬이고 있다.

급기야 광주시는 군공항의 전남 이전이 난항을 겪자 약속된 민간공항의 2021년 이전의 적절성 여부를 묻는 시민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등 무안으로의 통합약속 백지화 가능성도 흘리고 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