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 美증시, 코로나 급증 속 혼조…다우 0.08%↓
S&P500·나스닥 지수, 각각 0.77%·2.01% 상승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과 미국 내 코로나19 급증 추세에 혼조세를 나타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기대로 급등했던 경기 순환주가 주춤한 반면 최근 소외됐던 기술주는 반등하는 등 지수별, 업종별 서로 다른 양상의 움직임을 보였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3.29포인트(0.08%) 하락한 2만9397.63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7.13포인트(0.77%) 오른 3572.6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2.57포인트(2.01%) 상승한 1만1786.43에 장을 마감했다.

주식시장은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백신 개발 기대감 등을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 호재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전반적인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개선된 상황이지만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소식은 최근 호재들을 희석시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전일 기준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 수는 6만2000명에 육박해 지난 4월의 정점인 약 6만명을 넘어섰다.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도 10만명대 이상이 이어지고 있다.

입원환자의 증가 등 상황이 악화하면서 봉쇄 조치를 강화하는 지역도 늘어나고 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오는 13일부터 주 전체의 술집과 체육관 등의 야간 영업을 다시 중단할 것이라고 이날 발표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양호한 투자 심리가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머서 어드바이저의 돈 캘거니 최고투자책임자는 “시장 강세를 예상한다”면서 “시장은 평화적인 정권의 이양을 원했는데, 이것을 얻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두 번째로 시장은 코로나19 극복을 원하는데, 화이자의 발표는 이를 위한 큰 진전이었다”면서 “시장은 또 부양책을 원하데, 양 당이 부양책 도입 쪽으로 기우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