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훈 “이 시대의 야만은 약육강식, 코로나가 더 심화시킬 것”
김훈 작가가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교동 디어라이프에서 열린 장편소설 '달 너머로 달리는 말'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인간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적대감의 뿌리가 무엇인지 그리려고 했습니다.”

간명하지만 밀도높은 문장으로 말이 전하려는 것들의 세계를 더 멀리 깊게 열어보인 소설가 김훈(72)이 한층 완숙한 경지를 보여주는 장편소설 ‘달 너머로 달리는 말’(파람북)로 돌아왔다.

작가는 신작 출간 관련,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소설을 구상하게 된 배경에 대해, 이 세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야만적 폭력이 부딪치는 모습을 그리려고 했다며, “‘삼국사기’에 보면, 피가 강물처럼 흘러서 방패가 떠내려갈 정도였다고 하는데, 그 적개심의 뿌리가 무엇인지, 그런 야만의 모습과 그것들로부터 벗어나려 짓밟히고 저항하고 도망치는 저항의 모습을 써보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시대의 야만으로 약육강식을 꼽았다. “문명이 발전했지만 야만이 달라진 것 같지 않다. 약육강식은 청산하기 어렵고, 어떤 인류의 혁명도 해결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인류문명의 심층에는 야만과 폭력, 약육강식이 있고, 이를 이해해야 문명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코로나 19사태에서 약육강식이 더 심화될 것을 걱정했다.

"코로나를 어떻게 건너야 할 것인지 전문가들이 얘기하고 예언가들이 곳곳에서 예언을 하는데, 가장 무서운 건 결국 약육강식을 심화하는 방식으로 굳어져 버릴까 걱정이다. 당장 발등의 불은 이 사회의 최하층을 강타하는데 거기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소설은 ‘칼의 노래’‘현의 노래’‘남한산성’‘흑산’‘공무도하’‘공터에서’ 등으로 이어지는 역사와 삶의 부딪힘을 날카롭게 포착해온 일련의 작업과 달리 역사상의 시공간을 배경으로 삼지 않고 고대의 가상의 공간을 설정했다.

오로지 신화적 상상력으로 촘촘하게 밀고 나간 소설은 힘차고 선명하며 아름다운데, 작가는 이런 신화적 글쓰기에 대해, “그동안 글을 쓰면서 언어를 정보전달이나 서사의 전개 뿐 아니라 화가가 물감을 쓰듯이 음악가가 음을 쓰듯이 그렇게 언어를 전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는 그의 글쓰기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기도 하다. 그는 “저의 고민은 개념에 대응하는 실체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확실치 않다는 것”이라고. 그런데 그런 수많은 개념을 조합해서 글을 쓰는 사람이 많다고도 했다.

소설은 문명과 야만, 농경과 유목이 교차하는 문자와 기록이 막 시작되는 어떤 먼 시원, 대륙을 가로 지르는 강 나하를 사이에 두고 다른 세계, 다른 가치관을 지닌 초(草)와 단(旦)의 대립·충돌의 이야기다. 초원에서 이동하며 야생의 삶을 살아가는 초는 나하를 건너 경작을 하며 전각과 성을 쌓고 문자로 기록, 보관하는 단을 공격, 결국 잿더미로 만들지만 초 역시 힘을 잃고 만다.

작가는 “인간이 유목을 땅바닥에 들러붙는, 정착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엄청났다. 내 마음 속에는 유목의 피가 흐르는 것 같다”면서, 그런 무의식이 지상의 것에 대한 불신 같은 것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글을 쓰는 사람은 세상을 지워버리고 새로운 시동을 걸어보려는 소망이 누구나 있다”는 것이다.

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말은 10년전 그랜드캐년의 인디언마을에서 만난 야생말 무리가 소환됐다.

“저녁 무렵이었는데 어둠속에서 수백마리가 있는데 혼자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때 말에 대해서 뭔가 써야 겠다고 생각했다”며, 이번에 글을 쓰면서 말에 관한 자료들을 읽고 말의 속성, 말의 역사, 말이 사육되는 과정 등을 파악하고 고대 국가들의 신화와 미신의 파편들을 담아 재구성했다고 밝혔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