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앞당겨진 ‘디지털 전환’ 골든타임…신속하게 선점하라”
‘언택트’ 확산 재택근무 등 2년 앞당겨
국내 대기업-中企 양극화 해소가 관건
원격헬스·원격교육 등 벤처지원도 중요
IT최강국 활용 위해 규제개혁 서둘러야

“2년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 전환)이 두 달 만에 일어났다.”

이는 사피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말 실적발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 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앞당긴 디지털 혁신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2020년 ‘세계의 공장’ 중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는 언택트(비대면) 사회를 재촉하며 재택근무, 화상회의, 원격수업 등 지구촌을 불가항력적인 디지털 전환에 빠져 들게 했다.

구글의 경우, 최근 영상회의 ‘구글 미트’ 사용량이 1월과 비교해 25배 가량 늘었으며 신규 이용자는 200만명 증가했다. MS는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지역에서 클라우드 수요가 775% 폭증했다.

디지털 전환에 가장 발빠르게 대응하는 곳은 이같은 글로벌 소프트웨어(SW) 기업들이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제품 브랜드와 구독요금을 다양화하며 시장 우위 선점에 나서고 있다.

MS는 자사 기업용 오피스 프로그램 구독 모델 브랜드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O365)’를 ‘마이크로소프트 365(M365)’로 변경했다. 사무실(Office)을 넘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 구글 미트는 오는 9월 말까지 사용 시간이나 기능 제한 없이 누구나 공짜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국내 기업들도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코로나 이후)’ 대비를 위한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3월 삼성의 선행기술을 연구하는 삼성종합연구원을 찾아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양자 컴퓨팅 기술, 미래 보안기술 등을 직접 챙겼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미래를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코로나19 사태 이후의 커다란 흐름과 변화를 읽지 못하면 생존하더라도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지만 중소기업과의 양극화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글로벌 IT기업 ‘델테크놀로지스’가 지난해 발표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덱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혁신 정도를 5단계로 나눈 그룹 가운데 디지털 혁신을 완료하거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달성한 국내 1, 2그룹은 글로벌 평균과 비슷했다. 반면 디지털 혁신에 대한 계획을 전혀 세우고 있지 않은 5그룹은 22%로, 전세계 9%에 비해 확연히 높았다.

국내 기업들은 디지털 혁신 장애 요인 1순위로 ‘예산과 지원 부족(41%)’을 꼽았다. 해외 기업들이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34%)’을 가장 큰 걸림돌로 여기는 것과 대조적이다.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31%)’은 ‘적절한 인력 및 전문지식 부족(31%)’과 함께 국내 기업들의 두번째 장애요인으로 지목됐다. 이어 ‘미숙한 디지털 협업문화(28%)’, ‘잦은 법규 및 규제의 변경(25%)’이 뒤를 이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앞당긴 디지털 전환을 신속하게 선점하기 위해서는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신동엽 연세대 교수(경영학)는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변혁이 준비가 덜 된 채로 오게 됐다”며 “이 같은 ‘불균등한 타격’을 정부가 어떻게 조절해 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사태와 같은 문제가 생기면 기존에 없던 기회도 생긴다”며 “이번 기회가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다. 정부 지원을 통해 신속하게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특히 “원격헬스나 원격교육은 기존 기업들이 진입하기는 힘든 면이 있다”며 “신생 벤처 창업을 빠르게 파악해 국가 수준에서 데이터를 지원하고 이 분야로 유입되는 인력 흡수가 빠르게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혁민 한국경제연구원 산업혁신팀장은 인터넷 인프라 최강국이라는 환경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디지털 산업의 특징은 기존 산업과는 다르게 산업간 융복합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라며 “디지털 헬스케어만 보더라도 의료, 빅데이터, AI 등 다양한 분야가 혼재되어 있다. 정부의 지원책도 기존 산업간 구분에 얽매이지 말고 연관산업 모두를 해결할 수 있는 규제개혁과 지원방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예선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