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증시, 부양책 합의 기대에 폭등…다우, 1933년 후 최대폭
다우 11.37% 폭등…S&P500 9.38%↑·나스닥 8.12%↑
[로이터]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그로인한 경제 여파로 폭락세를 나타냈던 미국 뉴욕증시가 미국 정부의 대규모 재정 부양책의 의회 통과가 임박 소식에 폭등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장보다 2112.98포인트(11.37%) 폭등하면서 20704.91에 거래를 마쳐 2만선을 회복했다. 전날 18000선을 위협받기도 했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다우지수는 1933년 약 87년 만에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209.93포인트(9.38%) 뛴 2447.33에, 나스닥도 557.18포인트(8.12%) 폭등한 7417.86에 장을 마감했다. S&P500 지수도 2008년 10월 이후 가장 큰 폭 올랐다.

시장은 코로나19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미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부양책이 곧 의회에서 합의될 것이란 기대로 위험자산투자 심리가 지지받았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민주당) 등 주요 관계자들이잇달아 합의가 임박했다는 발언을 내놨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정부와 의회가 논의 중인 부양책 규모는1조6000억달러에서 2조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무제한 양적완화(QE)’와 회사채 매입 방침을 발표하는 등 유례없는 경기 부양에 나선 가운데, 대규모 재정 정책이 가세하면 시장 안정화에 효과를 낼 것이란 기대가 크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지표 부진도 계속 확인되는 중이다. 정보제공업체 IHS마킷이 발표한 미국과 유로존, 영국 등 주요국의 3월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서비스업 위주로 사상 최저치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부진했지만, 예상된 결과인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됐다.

IHS마킷에 따르면 3월 미 제조업 PMI 예비치(계절 조정치)는 49.2로, 전월 확정치 50.7에서 하락했다. 최근 127개월 사이 가장 낮았지만, 시장 예상치 42.5는 웃돌았다. 3월 미 서비스업 PMI 예비치(계절 조정치)는 전월 49.4에서 39.1로 대폭 낮아졌다. 2009년 후반 자료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저치다. 시장 예상 42.0도 하회했다.

미 상무부는 지난달 신규주택 판매가 전월 대비 4.4% 감소한 연율 76만5000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전망치 0.9% 감소보다 부진했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은 3월 제조업지수가 전월 마이너스(-)2에서 2로 올랐다고 발표했다. 예상보다 양호했지만, 향후 6개월 업황에 대한 기대지수는 큰 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