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평가 받는 세계화…글로벌 공급 사슬 ‘재편’ 기로
중국發 코로나19 확산으로 글로벌 공급망 붕괴
국가 간 ‘초연결성’, 위기 상황서 피해 확산시켜
경제학자 “세계화 종언 아닌 새로운 세계화 매커니즘 도입 필요”
18일(현지시간) 체코 믈라다볼레슬라프에 있는 스코다 생산공장 앞에 자동차들이 늘어서 있다. 스코다는 코로나19 확산으로 향후 2주간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키로 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면서 ‘세계화(globalization)’를 바탕으로 구축돼온 세계 무역과 제조업 패러다임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발 전염사태의 확산으로 중국 의존도가 최정점에 달해있었던 글로벌 제조·공급망이 순식간에 무너지고, 세계 각국이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잇따라 국경을 닫는 등 세계화의 부작용과 그로 인한 반세계화 움직임이 동시다발적으로 표면화 하면서다.

뉴욕타임스(NYT)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여러 국경에 퍼지기 시작하면서 상호 연결로 정의되는 ‘세계화’가 재평가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화를 적극 수용하며 글로벌 생산, 공급망 구축에 힘을 기울여 온 산업계는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았다. ‘세계 제조업의 중심’으로서 위상을 높여온 중국발(發) 공급망 붕괴가 다국적 제조사들의 연쇄 가동중단으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생산 및 공급 체계는 순식간에 혼란에 빠졌다.

중국에 대한 세계 제조업계의 의존도가 최고조에 달한 상황이었던만큼 타격은 더욱 컸다. 중국에서 시작돼 유럽, 미국으로 번진 바이러스 전염사태는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마비시키며 자동차, 전자제품 등 주요 생산라인의 가동중단으로 이어지고 있다.

세계화의 ‘리스크’가 표면화 하자, 미중 무역분쟁으로 가시화 한 트럼프 행정부식 ‘보호무역주의’마저 힘을 받고 있는 형국이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지난 1월말 “중국의 코로나19 감염 확산은 북미로의 일자리 복귀를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일 것이라고 밝혔고,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은 국가간 입국 금지와 의약품 수출이 차단 사태가 “위기 앞에서는 동맹도 없다는 걸 잘 보여주고 있다”면서 “해외로 나간 제조업 공급망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전례없는 국가 간 높은 의존도가 코로나19 사태를 키우고 경제적 피해를 키웠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저비용 고효율 생산이라는 경제 논리를 배제한 채 글로벌 공급 사슬 자체를 무너뜨리는 결과로는 이어질 것이란 관측은 많지 않다.

경제학자들은 코로나19 사태는 ‘세계화 종언’의 계기가 아닌, 국가 간 연결성을 재정립하는 이른바 ‘새로운 세계화 시대’의 출발점일 될 것이라 전망했다.

터키 재무장관을 지낸 브루킹스연구소의 케말 데르비쉬는 코로나19가 산업계에 불러온 전방위적 혼란은 ‘초집중적’인 네트워크에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은 미국, 제조업은 중국에 의존하는 등 기능적 면에서 특정 허브에 집중된 공급 네트워크 시스템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매우 빠른 속도로 마비될 위험이 높다는 지적이다.

데르비쉬는 지금 시점에서는 탈(脫) 세계화가 아닌 더욱 견고한 연결성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앙 허브가 마비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힘을 모으고, 이것이 전체 시스템 붕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구조적 재편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그 대안으로 시스템적 위험을 조기 억제할 수 있는 ‘차단 매커니즘’ 도입과 국제 사회가 즉각 공동대응에 나설 수 있는 프로토콜 제작, 그리고 공급 사슬과 금융, 공중보건 등 다분야에서 중앙 허브의 기능을 다변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데르비쉬는 “효율성과 규모의 경제 등 경제 논리가 일부 적용되지 않을 수는 있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다변화·다양화를 통해 위험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