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시장과 끝장대결하게 될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12일 윤곽을 드러낸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정책은 최고 수위의 강도였다. 당정 협의를 통해 일부 수정 보완될 것이라던 예상은 여지없이 깨졌다. 경제 부처는 말할 것도 없고 여당 내부에서도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반대의견이 없지않았지만 서열 높고 신임 두터운 정치인 출신 장관의 정치적인 결단이 모든 경제적 요인들을 돌파해 낸 셈이다.

거의 오기에 가까운 초강수는 그동안의 반대의견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우선 지정요건은 주택가격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현저히 높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역으로 완화됐다. 지금은 0%대 물가 시대다. 관심 가는 지역은 거의 대부분 적용대상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한제 적용 시점도 현행 ‘관리처분계획인가’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로 앞당겨 재건축 재개발 지역이 주요 타켓임을 분명히 했다. 후분양을 할 수 있는 건축공정 조건도 지상층 골조공사 완료(공정률 약 80% 수준)로 개정해 가능성을 틀어막았다. 보완대책으로 논의되던 전매제한 기간도 5~10년으로 확 늘렸다.

이번 개정안은 입법예고(19.8.14~9.23, 40일간) 및 관계기관 협의,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이르면 10월 초 공포·시행된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 부담이 완화되고, 집값이 안정되며 좋은 품질의 주택이 충분하게 공급되고 “합리적인 가격” 을 제시하여 소비자의 권리를 높여 내집 마련도 쉬워질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렇게좋은 정책을 왜 이제야 하는지 의아할 정도다. 그렇다면 하루에 40만원하는 민박이나 한잔에 1만원하는 커피, 1만3000원하는 국수 등 바캉스 바가지 요금은 왜 가만 두는 것인가.

분양가 상한제는 정부가 시장의 가격에 직접 개입하는 극약처방이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무너지는 시장왜곡의 부작용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수익성이 줄어든 재건축·재개발 사업자들이 분양을 포기하게 되면 주요 지역의 새 아파트 공급은 더 부족해지고 수요만 팽창하다가 결국 몇 년 후 집값은 치솟게 된다. 그게 시장이고 시장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이다. 시장을 이긴 정부는 없다. 이미 노무현 정부때 다 지적됐고 그후 현실로도 경험한 일이다.

이미 부작용은 나타나고 있다. 밀어내기 분양은 시작된지 오래다. 당분간 신축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에 신규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벌써 완공된 새 아파트 가격은 오름세다. 신고가를 경신하는 준공 5년 이내 새 아파트 단지들이 속출하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