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 칼럼-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 귀농·귀촌 50만 시대 ‘쇼는 끝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귀농·귀촌 50만 시대(2017년 51만6817명)’를 자랑스럽게 선언했었다. 하지만 최근 발표한 ‘2018년 귀농·귀촌인 통계 결과’를 보면 2만6487명이나 줄어든 49만330명으로 1년 만에 50만 시대가 깨졌다.

사실 귀농·귀촌 50만 시대는 ‘귀촌통계 거품’이 만들어낸 허상에 불과했다. 귀촌인구 비중은 2017년 96.2%, 2018년 97.5%로 압도적이다. 2018년부터 이 귀촌통계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귀농·귀촌 50만 시대가 재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현재 귀촌인구는 도시(동 지역)에서 농촌(읍·면)으로 이주한 사람 중 농사를 짓지 않는 이들로 집계된다. 이 경우 서울·광역시 등 대도시 배후의 읍·면 소재 신도시나 기업·혁신도시에 거주하면서 도시로 출퇴근하거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들도 거의 귀촌인에 포함된다.(필자가 지적하는 ‘거품’의 주요 원인이다.)

그런데 지난해 신도시에 해당하는 경기 화성시 동탄면의 중리·신리·목리 등이 동탄5·6동 관할이 되면서 귀촌인 집계에서 제외되는 등 ‘신도시 귀촌 효과’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새로 읍·면 소재 신도시가 조성되지 않는 한 귀촌인구는 앞으로 계속 줄어들 것이다.

귀농·귀촌인구는 2009년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12년까지 농식품부는 매년 귀농·귀촌 통계를 발표하면서 ‘귀농 ○○% 급증’ 등의 제목으로 ‘귀농’을 전면에 내세웠다. 실제 2012년 귀농인구는 처음으로 1만 가구를 돌파했다. 그러나 2013년 들어 귀농인구는 1만 가구는 유지한 채 소폭 감소했다. 고민하던 농식품부는 이때부터 귀농과 귀촌을 묶어 ‘귀농·귀촌인구 사상최대’라는 식의 물타기 홍보 전략을 구사했다. 그 결과 2017년에 ‘50만 시대’를 열었지만 2018년 통계에서 보듯 이젠 그마저도 종언을 고하게 됐다.

농식품부는 2017년 통계부터 2030 젊은 층에 정책 및 홍보의 초점을 맞췄다. “40세 미만 젊은 층이 전체 귀농·귀촌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그 젊은 층의 상당수는 ‘신도시 효과’에 힘입은 ‘귀촌인 아닌 귀촌인’이다. 읍·면 소재 신도시 귀촌인구는 첫 집을 사거나 빌려 이주하는 젊은 층이 많다. 또 ‘40세 미만’은 원래 1세부터 39세까지를 아우르지만, 보도자료 설명에서는 1~19세를 모두 ‘40세 미만 젊은 층’으로 표현하고, 이는 다시 언론을 통해 ‘2030 젊은 층’으로 둔갑한다.

농식품부는 특히 2018년 통계 발표에서 “전체 귀농인구는 줄었지만 2030세대는 가장 큰 규모로 늘었다”고 자화자찬했다. 물론 통계상으론 2018년 2030 귀농가구는 2017년 보다 31가구(2.3%) 늘었다. 하지만 전체 비중은 11.3%에 불과하다. 더구나 농식품부는 지난해 2030 창업농 1600명을 뽑아 ‘월급(최장 3년 동안 월 100만~80만원 지급)’을 주는 파격적인 제도를 도입했다.

지난해 선발된 1600명 가운데 귀농인(2016~2018년 귀농)은 1136명(71%)이라고 한다. 이들을 제외한다면 지난해 2030 귀농인 또한 급감한 셈이다.

이제 겉 다르고 속 다른 귀농·귀촌 50만 시대의 ‘쇼’는 끝났다. 탁상 성과에 집착할 게 아니라 현실과 현장에 기초한 진정성 있는 귀농·귀촌 정책을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농업·농촌의 새 희망인 귀농·귀촌은 그 동력을 빠르게 상실할 것으로 우려된다.

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