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이브리드 모빌리티’ 춘추전국…멀어져가는 ‘공유경제’
-모빌리티 플랫폼에 택시 결합 신종 서비스 이달 시작
-과거 하이브리드카 등장 당시와 유사
-그랜저ㆍK7 등 준대형 택시 타다 서비스로 들어와
-공유경제는 공회전, 풀러스 3개월째 ‘무상서비스’
-전문가 “정부가 주도해 ‘공유경제’ 문제 해결해야”

쏘카의 하이브리드 카풀 서비스 ’타다 프리미엄‘ [쏘카 제공]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카풀 플랫폼에 택시 결합 형태
‘하이브리드 모빌리티’ 이달 서비스

그랜저·K7 등 준대형 택시 활용
‘타다 프리미엄’ 이달중순 출시

국회 관련법안 처리도 하세월

가솔린 엔진에 전기 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카는 20년전 등장 당시 친환경과 고연비의 대명사였다.

동시에 하이브리드카는 미국과 유럽 등 자동차 선진국에서 배출가스 및 연비 규제를 강화하자 이를 돌파하기 위해 완성차 업체들이 내놓은 일종의 ‘생존모델’이기도 했다.

20년이 지난 지금 하이브리드카를 진정한 혁신 모델로 내세우는 의견은 드물다. 친환경차 타이틀은 이미 전기차와 수소차로 넘어갔다. 국내 정부도 올해부터 하이브리드카 보조금 제공을 중단했다.

국내 승차공유 시장에서 모빌리티 플랫폼과 택시가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가 이달부터 본격 시작된다.

극심한 카풀 갈등과 강력한 규제 속에서 모빌리티 기술을 택시에 접목한 ‘하이브리드 모빌리티’에 가깝다.

모빌리티 업체들이 생존을 위해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모델이라는 점에서 과거 하이브리드카와 닮아 있다.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는 평가도 있지만, 공유경제를 위한 진정한 솔루션은 더욱 요원해졌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그랜저, 기아차 K7 등 준대형 택시를 활용한 ‘타다 프리미엄’이 이달 중 출시된다. 기존 타다 플랫폼에 택시 차량과 기사를 합친 개념이다. 타다 프리미엄 이용 비용은 현재 택시요금의 1.5배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2면

타다 프리미엄 출시에 ‘카카오T블랙’과 ‘우버택시’도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설 전망이다.

서울시도 직접 이 시장에 뛰어들어 지난 1일 택시 애플리케이션 ‘S택시’를 출시했다. 서울시는 서울 택시 7만2000대에 S택시를 설치했다.

이처럼 모빌리티 플랫폼과 택시가 결합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모빌리티’는 공유경제에 대한 택시업계 반발이 큰 국내에서 최선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사회적 반발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상을 보면 하이브리드 모빌리티는 지난해 말 불거진 카풀업계와 택시업계의 갈등에서 비롯된 고육지책이다. 지난 3월 정부와 국회, 택시업계, 카카오모빌리티가 속한 사회적대타협기구는 ‘모빌리티 플랫폼 기술을 승용차가 아닌 택시에 결합한다’고 합의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에 하이브리드 모빌리티 시장에만 쏠린 업계와 정치권의 관심이 오히려 진정한 의미의 ‘공유경제’ 시장을 후퇴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 한 카풀 업계관계자는 “현재 업계가 내놓은 모빌리티 택시 서비스는 4차산업의 탈을 쓴 콜택시에 불과하다”며 “공유경제와는 전혀 관계 없는 서비스”라고 지적했다.

하이브리드 카풀이 나오는 사이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말 카풀 시범 서비스를 중단한 이후 현재까지 서비스 재개 계획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

카풀 전문 스타트업 풀러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고 오직 카풀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풀러스는 3월 이후 3개월째 무상카풀서비스로 간신히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유상으로 카풀서비스를 하면 법적 제재를 받기 때문에 투자 유치를 위해 무상서비스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회사가 어려워지자 50명이던 직원은 30명으로 줄었다.

풀러스 관계자는 “현재는 수입이 전혀 없는 상황으로 너무 힘들지만, 그렇다고 카풀 서비스를 포기할 수는 없다”며 “정부가 나서서 카풀을 서비스를 지원해줘야 하지만 등을 돌려버렸다”고 토로했다.

우버 역시 한국에서는 불법으로 간주돼 현재는 정부차원의 논의 대상에서조차 빠져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과기정통부 ICT 규제샌드박스 심의에서 탈락한 카풀 업체들은 재심의만 기다리고 있다.

정부와 국회는 공유경제를 위한 정책 마련에 여전히 미흡한 모습이다.

여야는 지난 2일 국회정상화 협상에도 실패해 카풀 관련법안 처리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당초 여야는 6월 임시국회에서 사회적대타협기구에서 협의한 대로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통과시킬 계획이었다.

국내 공유경제 수준은 해외 주요 기관 평가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의 ‘2019 국제 혁신 평가표’에 따르면 한국은 ‘승차공유’ 분야에서 최하점인 ‘F’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공유경제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한다.

조신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카풀 등 공유경제 문제를 푸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은 안다, 하지만 지금처럼 손을 놓아선 안 된다”며 “해결이 가능한 작은 부분부터 정부가 나서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하며, 장기적으로 보고 공유경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상우 기자/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