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적도 태평양 대기순환 현상 발생…자연변동성이 주 원인 작용
- IBS 국제 공동연구진, 온실기체 증가의 영향을 일시적으로 압도한다는 사실 규명 
기초과학연구원 기후물리연구단 연구진.[제공=IBS]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은 미국ㆍ독일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 최근에 관측되고 있는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이 온실 기체의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기후시스템 내의 자연변동성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적도 태평양에서는 차가운 동태평양과 따뜻한 서태평양 사이의 해수면 온도 차이로 인해 시계 회전 방향의 대규모 대기 순환이 존재한다. 이를 워커순환이라 한다. 워커순환은 1990년대 초부터 2010년대 기간 동안 그 강도가 이례적으로 증가하면서 온실기체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가뭄 현상을 심화시켜 농업, 수자원 관리 및 산불 발생 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워커순환이 사회·경제 및 생태계에도 변화를 끼치면서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워커순환 모식도. 왼쪽 상단의 그림은 적도 태평양에 위치하고 있는 동-서 방향의 대규모 대기 순환인 워커순환을 나타낸다. [제공=IBS].

인간 활동에 기인하는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ㆍ화학ㆍ생물학적 과정들이 표현돼 있는 컴퓨터 수치모형(기후모델)들이 사용돼 왔다. 수치모형에서는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워커순환의 강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기후모델 실험 결과가 최근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과는 반대로 나타나면서 기후모델 실험으로부터 산출된 미래 기후변화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돼 왔다. 특히 워커순환 연구에 있어 육지에서와 달리 해양에서는 장기간 정기적인 관측이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관측으로 나타난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이 인간 활동에 기인하는 것(온실기체 증가)인지 아니면 기후시스템 내 자연변동성에 의한 것인지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국제 공동 연구진은 지상 관측의 제약으로 인한 원인 규명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전 지구 범위를 포괄하고 정기적인 관측이 가능한 위성 관측과 오차가 보정된 여러 지상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워커순환의 변화패턴을 분석했다. 또 기후시스템 내의 자연변동성과 온실기체의 증가에 기인하는 워커순환의 변화 판별에 최적화된 기후모델 실험 결과도 함께 분석했다. 
온실기체를 포함한 외부요인과 기후시스템 내의 자연 변동성으로 인한 워커순환의 변화.[제공=IBS]

분석 결과, 기후모델 실험은 평균적으로 워커순환의 약화 경향을 보인 반면 위성 관측으로부터는 강화 경향이 도출됐다. 다만 위성 관측에 나타난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의 크기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상당히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동일한 외부 조건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후모델 실험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부 실험의 경우 위성 관측에 부합하는 강화 경향을 보인 반면, 다른 일부 실험의 경우 뚜렷한 약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연구진은 기후시스템 내 자연변동성이 최근 워커순환의 강화 경향의 주원인이라는 것을 도출해냈다.

정의석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로 온실기체의 증가를 포함한 인간 활동이 열대 지역의 대규모 대기 순환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수반된 수(水)권 순환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후시스템의 여러 과정들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를 포괄하는 장기간의 정확한 관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4월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구본혁기자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