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합계출산율 1명선 붕괴
0.96~0.97명…저출산委 잠정집계
출생아 수 32만5000명으로 추산


인구절벽이 더욱 가팔라지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0명 선이 무너졌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18일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96~0.97명으로 잠정 집계되고, 출생아 수는 32만5000명가량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합계출산율 1.0명 미만은 역대 최저치로 통계청의 앞선 발표로 이미 예고된 사태다. 지난해 3분기 합계출산율이 이미 1.0 미만으로 추락한 것이다. 총인구 감소 시점도 2028년보다 더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됐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자녀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 인구유지에는 2.1명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이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에 빠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에 크게 밑돌며 ‘꼴찌’다.

합계출산율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1971년 4.54명을 정점으로 1987년 1.53명까지 떨어졌고 1990년대 초반에는 1.7명 수준으로 잠시 늘었지만 이후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7년에 사상 최저인 1.05명으로 떨어진 데 이어 급기야 2018년에는 1.0명 미만으로 곤두박질쳤다.

우리나라는 15~64세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국면에 들어섰다. 15~64세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73.4%를 정점으로 2017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인구절벽 현상이 발생하면 생산과 소비가 줄어드는 등 경제활동이 위축돼 경제위기가 생길 수 있다.

정부는 출산율이 계속 추락하자 인구절벽으로 경제활력이 떨어져 국가존립마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보고 지난 2006년부터 최근까지 13년간 5년 단위로 3차례에 걸쳐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내놓으면서 갖가지 출산장려책을 쏟아냈다. 3차 기본계획(2016~2020년)에서는 ‘저출산 극복의 골든타임’을 강조하며 2020년까지 ‘합계출산율 1.5명’을 달성하겠다면서 저출산 극복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출산율 제고 노력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유아시설이 부족한 데다, 청년세대가 안정된 일자리와 주거환경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이에따라 정부는 그간 출산율 올리기에 급급하던 데서 탈피해서 모든 세대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성 평등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난해 12월 7일 확정, 발표한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로드맵’을 보면, 저출산 정책의 큰 틀을 출산장려에서 삶의 질 개선으로 바꿨다. 저출산 대책을 추진하면서 출생아 수가 30만명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이창준 기획조정관은 “출생아 수 30만명을 지지하는 것을 목표로, 의료비와 양육비 부담을 최대한 낮춰서 각 가정이 2자녀를 기본적으로 낳아서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대우 기자/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