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차산업 생태계 힘겨루기 점화…사이버보안·AI ‘눈에띄네’
세일즈포스 4차산업기술 영향력 조사
기업 기대치 최상위 기술 ‘사이버보안’
암호화폐·블록체인은 최하위에…

양자컴퓨터·바이오 유망기술로 각광
원격의료 등 건강네트워크 확산 기대

4차산업혁명 관련 법률안 통과율 11%
“지지부진한 정책지원 급선무” 지적도


IBM이 개발한 양자컴퓨터 IBM Q. 포춘 500대 기업과 연구기관, 스타트업 네트워크가 IBM Q를 활용해 양자컴퓨터를 연구한다 [출처=IBM]

올해는 지난 2016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을 시작으로 ‘4차 산업혁명’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지 만 3년이 되는 해다.

지난 3년간 ‘초연결’로 점철되는 주요 기술들이 테이블 위로 올라왔다면, 2019년은 이 기술들이 서로 우위를 겨루는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4차산업 생태계 내에서 주도권을 다투는 경쟁도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인 고객관계관리시스템(CRM) 솔루션 기업 세일즈포스가 전세계 고객 6700명 이상 대상으로 조사해 최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87%는 기업의 기대치를 바꿀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술로 사이버시큐리티(보안)와 인공지능(AI)을 선택했다.

보안의 경우 20%는 이미 기대치에 변화를 준 기술이라는 응답이 나왔고, 44%가 현재 기대치가 달라지는 중이라고 답했다. 나머지 23%는 5년내 기업 기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AI에서는 이미 영향을 줬거나(14%), 현재 기대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37%) 등의 응답이 나온 가운데 AI가 전체 9개 4차산업 기술 중 5년내 가장 기대치를 바꿀 수 있는 기술(36%)로 꼽혔다.

그 뒤를 이어 사물인터넷(loT)과 클라우드컴퓨팅이 각각 86%로 집계됐다. 클라우드컴퓨팅은 이미 기대치를 바꿨거나 현재 바꾸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반면 4차산업 핵심 기술로 거론되는 블록체인과 이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기업 기대치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낮았다.

두 기술은 각각 72%, 71%의 응답을 받아 9개 기술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특히 ‘블록체인이 이미 기업기대치를 바꾼 기술’이란 응답 비율은 11%에 그쳐 전체에서 가장 낮아 4차산업으로 분류되는 기술 사이에서도 영향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도 ‘2019년 산업경기의 10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블록체인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핵심 기술 부족과 운영시스템 미성숙으로 한계에 봉착한 실정이라고 진단하며, 올해부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간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대로 유망기술로는 양자컴퓨터를 꼽으며 데이터 정보량이 급증하는 추세에 따라 기존 컴퓨터의 능력을 넘어서는 연산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컴퓨터가 사용될 것으로 예측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양자컴퓨터 시장은 2035년까지 약 2조원(20억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2050년에는 약 281조원(2600억달러) 시장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블록체인이 확산될수록 보안기술 측면에서 양자컴퓨터의 중요성은 더욱 부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알렉산더 로보브스키 옥스퍼드대 실험물리학자는 “공개키 암호 방식을 사용하는 보안 방식은 모두 양자컴퓨터의 위협에 노출되지만, 특히 위험한 것이 바로 블록체인”이라고 주장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양자컴퓨터와 함께 바이오를 유망기술로 소개한 가운데, 같은 맥락에서 노키아 벨연구소도 향후 원격의료와 같은 건강 분야에서 디지털네트워크 기술이 가장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에너지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디지털네크워크 기술이 이미 전체 확산 평균치를 넘어선 반면 건강 분야는 2020년전후로 본격적으로 촉발되고 203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 가장 확산속도가 빠른 기술이 될 전망이다.

벨연구소는 2030년에 건강분야에서 확산속도가 50%를 넘고 2044년이면 전체 가구의 최대 80%가 디지털 헬스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는 4차산업 관련 정책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단계까지 들어가는 것이 급선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 ‘4차산업혁명 대응현황과 향후 과제’에 따르면 20대 국회에서 지난해 10월까지 발의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법률안은 총 89건인 가운데 통과된 법률안은 10개(2018년 12월 6일 기준)로 전체 발의안 중 통과율은 11%로 저조하다.

통과된 법은 로봇과 스마트시티 등을 제외하면 지원과 규제 및 인력양성 등 포괄적인 4차산업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양자컴퓨팅, 바이오, 클라우드, 자율주행자동차,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4차산업 핵심 분야 법안은 계류 중이다.

입법조사처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발표되고 입법적 논의가 있었지만 현실에서 구체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정태일 기자/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