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에 절반 몰린 IoT기업 ‘고전’…“스마트시티팀 만들어야”
서울 소재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생태계별 매출액 규모. [제공=서울연구원]
-IoT기업 서울에 절반 포진
-매출액ㆍ사업규모는 ‘글쎄’
-협업 부족ㆍ지원정책 미흡
-“컨트롤타워 통합관리해야”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서울에 몰려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16일 서울연구원이 펴낸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IoT 관련 기업 2만7440곳 중 절반에 가까운 47.1%(1만2935곳)가 서울에 있다. 관련 종사자 52만146명 중 42.3%(21만9910명)도 서울로 출퇴근을 한다. 하지만 이들 기업 매출액은 63조5750억원으로 전체 기업 매출액(277조2560억원)의 22.9% 수준이다. 첨단도시를 표방하는 서울시 입장에선 체면을 구기는 수치다.

IoT는 인터넷과 현실 세계를 이어주는 일을 하는 융합사업이다. 산업, 문화 등 분야와 연계하면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대중화 사례로는 몸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계 ‘스마트워치’ 등이 있다.

IoT 관련 기업들은 주력 기술에 따라 서비스,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분야로 쪼개진다. 서울 소재 기업 2만7440곳은 서비스 7716곳(59.7%), 플랫폼 2336곳(18.1%), 네트워크 1674곳(12.9%), 디바이스 1209곳(9.3%)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특히 디바이스 분야 매출액이 3조2980억원으로 서울 전체 매출액의 1.8%밖에 안 되는 등 고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기업들은 사업 확장에도 힘 쓰지 못하는 분위기다.

보고서를 보면, 같은 연도 기준 서울 IoT 관련 기업 중 93.9%(1만2150곳)가 종사자 50명 미만 중ㆍ소규모 업체다. 이 안에서 69.0%(8926곳)은 종사자가 10명 미만이다.

종사자 300명 이상 대규모 업체는 고작 0.5%(61곳) 수준이다. 다만 이들 매출액은 전체에서 47.5%를 차지하는 상황이다.

서울연구원은 부진 이유를 기업 간 협업 부족, 서울시의 미흡한 지원 정책으로 지적한다. 또 이를 총괄할 컨트롤 타워로 시가 ‘스마트시티팀’ 등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울 소재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사업체의 규모별 현황. (사업체 수) [제공=서울연구원]
IoT는 분야ㆍ직종ㆍ개발자 등 주체들이 활발히 접촉해야 하는 융ㆍ복합 산업인데, 지금은 서로 기술 정보 공개도 꺼리는 등 폐쇄적인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가 이런 분위기가 생긴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IoT 사업 지원정책 대부분이 디지털대장간 건립, 성북시제품제작소 운영 등 인프라 구축에 집중돼 교류ㆍ협력, 인재 양성 측면이 비교적 소홀히 다뤄졌다는 비판이다.

조달호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표 IoT 중심지로 서울시가 꾸민 서남부의 지(G)밸리도 협업 문화가 생소한 상태”라며 “서울시가 교류를 적극 중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책 손질은 서울 IoT 관련 업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ㆍ소규모 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가 1순위로 언급된다.

중ㆍ소규모 업체는 규모가 작은만큼 완제품을 만드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완제품이 아닌 기술ㆍ아이디어만 보고 지원금을 주는 등 기회의 폭을 넓혀야한다는 주장이다. 검증 마친 제품이나 돈이 없어 만들기를 포기하는 일부 업체에는 과감한 투자를 할 수 있는 체계 구축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정책 통일성을 갖기 위해 신생조직이 필요한 것“이라며 ” 이 팀을 IoT 외에 4차 산업혁명 관련 모든 정책을 총괄하는 곳으로 두는 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