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노인 4명 중 1명 “극단적 선택 생각 해봤다…고독사 염려”
[사진=연합뉴스]
-경제·건강상태 나쁠수록 비율 더 높아


[헤럴드경제=이슈섹션] 국가인권위원회가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노인 인권 실태를 조사한 결과, 노인 4명 중 1명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고독사를 염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4명 중 1명 꼴로 나타났다.

1일 인권위가 한국성서대 산학협력단(연구책임 원영희 사회복지학과 교수)에 의뢰해 최근 제출받은 ‘2017년 노인인권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노인 응답자 1000명의 26.0%는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다.

경제상태가 나쁘다고 답한 노인(43.2%)과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노인(39.1%)일수록 자살에 대해 생각해본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독사를 우려하고 있다’고 답한 노인의 비율도 전체의 23.6%에 달했으며, 70대 전반(26.9%)과 80대 이상(26.8%)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존엄한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도 드러났다. 노인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83.1%)은 ‘존엄사를 찬성하며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10명 가운데 9명(87.8%)은 ‘호스피스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에 동의했다.

한편 노인 응답자 10명 중 7명(71.1%)은 ‘한국사회가 노인 빈곤을 예방하거나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지원한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에 동의했지만, 응답자 4명 중 1명(24.1%)은 ‘생계유지가 어려웠지만 국가의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에 필요한 만큼 공적연금을 받지 못하다’고 답한 노인의 비율도 30.7%로 나타나 노인 빈곤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도 과제로 제시됐다.

또 ‘자살·고독사 고위험군 노인층에 대해 신속한 개입 등 맞춤형 지원’, ‘노인복지시설이나 가정에서도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 보완’, ‘기초연금 소득 기준 적용 제외 등 기초소득보장 강화’, ‘노인 일자리 수당 인상’ 등도 노인 인권 정책의 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