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자리 참사 후폭풍] 청년실업 못잖은 중장년실업…4050 경제허리 ‘고난의 행군‘
[사진=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지난달 실업자 수가 IMF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인 113만명까지 치솟으면서 고용시장 침체의 골이 갈수록 이어지고 있다. 신규 일자리 창출 동력의 불씨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는 가운데 청년실업의 심각성 못지 않게 40~50대 중장년층의 실업도 점자 늘어나고 있어 경제 성장엔진에 또하나의 결함으로 떠오르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취업자수는 2690만7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40대가 663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632만명으로 뒤를 이었다. 4050세대를 모두 합하면 1295만1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절반에 육박하는 48%에 달한다. 사실상 경제ㆍ산업현장의 중추세대들이 4050세대라는 의미다.

문제는 4050대의 실업자 수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20~30대 실업자 수는 62만3000명으로 전체 실업자 수의 54%를 차지했는데, 40~50대 실업자는 37만3000명으로 20대 실업자 수와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40대 실업자는 지난 5월 이후 넉달 연속 상승곡선을 그렸고, 50대 실업자는 전달에 비해 3만3000명이 급격하게 늘어 중장년 실업의 심각성을 보여줬다.

4050세대의 실업자 수 증가는 산업구조조정 등 제조업 침체의 여파가 크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박지순 고려대 교수는 “40~50대 실업자 증가는 제조업 경기 침체에 따른 인력감축과 일자리 상실, 각종 시설관리와 서비스업에서 최저임금 여파로 인건비 부담이 늘어난 기업들의 경영비용 축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부분 한 가정의 가장인 4050세대의 실업 증가는 가계경제의 위기요인은 물론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성장에도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서민가정이 많은 중소제조업, 서비스, 도소매업에서의 실업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며 가계소득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은 설상가상이다.

일각에서는 4050세대 실업 증가에 대해 정부가 서둘러 손을 쓰지 않으면 향후 성장동력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권혁 부산대 교수는 “기업들, 특히 제조업 부문에서 40~50대는 숙련도의 향상과 더불어 인건비용이 급격히 상승하는 세대”라며 “최근처럼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이들을 겨냥할 우려가 높다”고 봤다. 권 교수는 그러면서 “이들이 산업현장에서 밀려날 경우 가계경제의 파탄은 물론 향후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청년실업에 가려 사각지대에 놓인 4050세대의 고용 안정에도 주목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청와대가 4050 세대들의 실업증가를 두고 경제성장통이라고 설명하지만 시장 반응은 싸늘하다. 무엇보다 고용에 관한한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규제혁파를 통한 기업중심의 혁신성장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을 얻는 상황이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