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동공단 화재, 전기적 요인 발화가 원인”
23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세일전자 화재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반이 2차 현장감식을 하고자 공장 내부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합동감식 결과 최초 발화지점 달라져
-4층 복도 천장 아닌 사무실 천장서 불
-스프링클러 50분 뒤 작동…“추가 조사”

[헤럴드경제=이슈섹션] 근로자 9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친 인천 남동공단 전자부품공장 화재 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소방당국의 합동 감식 결과, 전기적 요인에 의해 불이 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경찰청 사고 수사본부는 23일 오후 브리핑을 열고 전기 배선 문제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인천소방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전날에 이어 이날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세일전자 공장 건물에서 합동 감식을 벌였다.

경찰은 합동 감식 결과 소방당국이 최초 발화점으로 추정한 공장 건물 4층 검사실과 식당 사이 복도 천장이 아닌 4층 화물용 엘리베이터 앞 사무실 천장에서 처음 불이 난 것으로 확인했다.

이곳은 최초 발화점으로 추정된 복도 천장에서 20m가량 떨어진 지점이다.

경찰 관계자는 “최초 발화점은 시멘트가 변질되고 수분이 말라 박리 현상이 일어난다”며 “전선 피복 등이 벗겨진 모습도 발화점이 아닌 곳과 눈에 띄게 다르다”고설명했다.

화재 직후 작동하지 않았던 스프링클러가 50분 뒤에 물을 뿌린 사실도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스프링클러의 밸브는 개방돼 있었다”면서도 “화재 직후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한 기록은 수신기에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다만 “화재가 감지되면 바로 스프링클러가 작동해야 하는데 왜 화재 직후 작동하지 않았는지, 50분 뒤에 작동했는지는 추가로 정밀 분석을 해서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재 직후 공장 건물 내부에 설치된 비상벨도 수신기계 기록상으로는 정상 신호가 간 것으로 확인됐지만 실제로 벨이 울렸는지는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은 최초 발화지점 반대편인 전산실에서 사망자가 5명이나 발견된 것과 관련해서는 비상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는 쪽에서 처음 불이 발생하다보니 사망자들이 대피로를 쉽게 찾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4층 천장 상부에 시공된 단열재인 우레탄폼과 내부 격벽인 샌드위치 패널이 타면서 유독가스가 순식간에 발생한 영향도 인명피해를 키웠다.

경찰은 이날 이후에도 현장에서 계속 추가 감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