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서해위성발사장 타워크레인 해체 시작…비핵화 협상 진전 신호탄?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들을 판독한 결과, 북한이 탄도미사일 실험장인 ‘서해위성발사장’을 해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38노스는 “해체작업에 상당한 진척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해체작업은 약 2주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지난 20일 촬영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장으로 발사 직전 발사체를 조립하는 궤도식(rail-mounted) 구조물과 액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한 로켓엔진 시험대 등에 대해 해체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사진=게티이미지ㆍ연합]
-“北, 북미 약속이행 및 신뢰구축 위한 선제조치 나선듯”
-제동걸렸던 북미대화, 진전 보일듯…ARF서 남북미 외교장관회담 성사되나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 발사대에 세워진 ‘타워크레인’을 부분해체한 정황이 확인되면서 교착상태에 빠졌던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재개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23일(현지시간) 북한이 탄도미사일 실험장인 서해위성발사장을 해체하고 있는 정황이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정보당국 관계자도 24일 북한이 지난 20일과 22일 서해위성발사장의 발사대에 세워진 대형 크레인을 부분해체한 정황이 식별돼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추적 및 분석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미사일 엔진 시험장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고, 미국 언론들은 미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말한 시험장이 서해위성발사장이라고 지목해왔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장 해체작업은 북미 후속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이후 미국은 유엔 회원국들의 단결된 대북제재 이행을,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한 미국의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확인된 움직임이라 눈길을 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위원장에서 통큰 결단을 한 것이거나 북미간 물밑접촉을 통해 (북한의 약속이행에 대한) 설득작업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약속한 체제보장과 경제번영 모두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결정으로 이뤄질 수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 차원에서 북미 간 신뢰구축과 약속이행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첫 약속이행 조치를 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큰 의미를 둘 것”이라며 “다만, 핵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신고→검증→폐기’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약속한 서해 위성발사장 해체에 돌입한 데에는 북미대화의 판을 깨지 않기 위한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당장 이달 30일~8월 4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진행될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앞두고 북미 비핵화 후속협상이 진척을 보이지 않자 포럼 계기 추진될 것으로 관측된 남북미 외교장관 회담이 결렬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비핵화 작업에 앞서 미국과의 종전선언 등을 통한 체제보장을 꾀했던 북한 입장에서 북미 비핵화 후속협상에 대한 진전없이 국제무대에 나설 경우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부담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ARF는 북한 리용호 외무상이 유일하게 참석하는 외교장관 협의체이다. 지난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남북 긴장완화 및 관계개선을 위해 ARF 리셉션 계기 리 외무상에게 악수를 건넸다.

북한이 북미정상회담 약속이행에 나서면서 내주 ARF 계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리 외무상의 접견 가능성이 높아졌다. 리 외무상은 북한 외무성에서 과장 등 실무직에 있을 때부터 핵문제와 군축, 인권 등 대미외교 전반을 다룬 자타공인 최고의 미국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였던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달리 보다 구체적인 비핵화 협상이 기대되는 이유다. 미국 소식통에 따르면 김 부위원장은 북미 정상회담 준비 차원에서 방미했을 때도,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 6~7일 평양 방문 당시에도 미국의 비핵화 요구에 비협조적으로 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당시북한은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미국의 비핵화 요구가 ‘강도짓’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약속한 것을 이행하려는 의도인지 주시하고 있다”며 “한미 정보당국에서도 동창리 발사장에서 일부 유의미한 징후가 있다고 판단하고 관련 동향을 감시ㆍ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 해체에 들어갔다면 이는 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계속 유지하려는 액션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38노스의 조셉 버뮤데즈 분석관은“6ㆍ12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약속한 바를 이행하는 중요한 첫 조치”라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프로그램 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노력은 북한의 상당한 신뢰구축 조치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2015년 말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발사대를 50m에서 67m로 증축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2016년 2월 7일 장거리 로켓(미사일)에 위성체를 탑재한 ‘광명성 4호’를 발사했다.

서해위성발사장은 발사대에 자동 개ㆍ폐장치를 달았고 3단 로켓 추진체를 조립하도록 대형 조립건물을 갖추고 있다. 발사장의 조립건물에서 발사대까지 2개의 자동 레일을 깔아 로켓 추진체를 발사대까지 자동으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현대화했다.

38노스에 따르면 지난 20일 촬영된 위성사진에는 북한이 궤도 위에 설치된 구조물, 인근의 엔진시험대 등에 대한 해체작업을 시작하는 모습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찍힌 위성사진에는 크레인과 차량이 모습이 담겼다. 해체된 구조물들이 바닥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이는 장면도 포착됐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