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반인 대상 창업교육ㆍ졸업생 평판?… 산으로 가는 ‘대학랭킹’
-공신력 낮은 평가들 ‘학문자율권 침해’ 우려돼
-나쁜 평가기준도, 평가에 전전긍긍 대학도 문제
-대학 교수들도 “개선책 마련 시급하다” 지적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공공성을 갖는 기관인 대학이 평가를 거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어처구니없는 지표가 너무 많다.”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언론사에서 진행하는 대학평가는 생산성 파워, 브랜드ㆍ소비자 만족이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학문의 생태계가 다른 만큼 각자 다른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 (이정상 서울대 교수협의회 회장ㆍ의과대학 교수)

각 언론사가 발표하는 대학평가 점수가 발표되면 대학가에는 희비가 엇갈린다.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는 대학끼리도 ‘점수가 잘 나온 대학’, ‘못나온 대학’간 반응이 다르다. 대학평가는 학생과 학부모가 대학을 평가하는 잣대로 사용된다. 동문회에는 학교의 위상을 보여주는 잣대가 된다. 

한 대학교 입시설명회 자료사진. [헤럴드경제DB]

그런데 그릇된 대학평가 기준을 놓고 학계가 ‘단단히’ 뿔이난 모습이다. 국내와 국외, 언론사와 사설 기관들이 진행하고 있는 대학평가들의 평가들이 잘못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교수들은 평가를 받는 것 자체를 문제삼지 않는다. 대신 학문성과 학구열에 기반한 ‘제대로 된’ 평가를 하자고 호소하고 있다.

가장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창업’과 관련된 지표다.

국내에서 선호도가 높은 한 대형언론사의 지난해 대학평가 종합지수에는 ‘졸업생 창업활동’, ‘창업교육 참여율’이라는 평가지표에 각각 10점씩 배점됐다.

이들 평가의 배점은 학생복지나 도서구입비, 전임 강의비율 등 다른 평가점수보다 배점이 훨씬 높았다. 지난해 평가에서 ‘학생당 도서구입비’나 ‘기숙사 수용률’ 등 항목은 평가점수가 각 5점에 불과했다. 학교당 ‘전임교원의 강의비율’과 ‘저역서(저술서와 역서) 발간’과 관련된 점수도 배점이 5점이었다. 창업에 대한 점수가 학문에 관한 점수보다 배점이 더욱 높게 책정된 셈이다.

다른 언론사들의 대학평가에서는 더욱 석연치 않은 항목도 포함됐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 실적’, ‘(학교내) 창업지원 인력 수’도 평가기준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외 대학평가 항목에 포함된 ‘신입사원으로 뽑고 싶은 대학’은 평가잣대가 모호하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 일부기업의 한정된 인사담당자들이 평가자로 참여하고, 남학생이 없는 여대도 같은 평가 기준을 적용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 대학평가의 지난해 평가지표. [자료=해당사 홈페이지]

이같은 문제에 대해서 최근 서울소재대학교수회연합회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향후 대안을 마련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육부나 학교 당국에 문제제기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성명서 발표 자리에서 이우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대학평가에는) 교수들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면서 “지표 배점도 평가기관에서 결정하고, 교수들이 들어간다고 해도 일부 자문역할만을 맡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주요 대학들이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혈안이 된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많은 대학들은 대학평가를 이유로 들어서 교수들에게 논문저술을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얼마전 한 대학은 해외 대학평가 점수를 조작하려다 적발되기도 했다.

김병철 한양대 섬유공학과 교수(교수평의회 의장)는 “논문이라는게 금방 작성할 수 있는게 아니고, 기다림이 필요한 것인데 학교 당국이 (평가를 잘 받기 위해) 논문을 쪼아댄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방효원 중앙대 의과대학 교수(교수협의회장)도 “졸업생 동창회 등이 언론사 대학평가를 크게 중시하다 보니까, 학교가 동창회의 눈치를 보고 대학 평가가 떨어졌을 때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