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800만명 치매서포터 양성…美 1600만달러 임상시험 지원
해외 치매정책 사례 보니…

정부의 치매 국가책임제가 본 궤도에 오르며 정책 시행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책의 디테일면에서 여전히 보완ㆍ강화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특히 해외의 치매정책 사례와 비교해 볼 부분이 적지 않다.

초고령국가에 들어선 일본은 지난 2015년 치매환자 급증에 대비한 ‘신(新)오렌지 플랜’을 발표하며, 2017년까지 800만명의 치매서포터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이들 치매서포터들과 더불어 치매 조기진단을 담당하는 전국 500여 곳의 치매의료센터와 함께 빈틈없는 치매 환자 지원망을 구축하는 것이 일본 치매대책의 핵심이다. 이와 함께 일반 병원 근무자을 대상으로한 치매 대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가동해 의료서비스 인력을 육성하는 데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는 2050년 치매환자가 130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도 치매에 대한 국가적 대응에 이미 팔을 걷어부친지 오래다. 지난 2011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국가 알츠하이머 프로젝트법’을 승인하면서 치매관리 정책은 급물살을 탔다. 알츠하이머의 조기진단과 함께 경-중증 환자의 돌봄 서비스를 구분해 국가 지원의 집중도를 높였다. 중증 환자의 경우 일상적인 요양지원은 물론 말기환자의 경우 임종 때까지 통증완화와 정서적 지지 서비스는 물론 가족을 위한 심리적 안정 지원도 제공된다.

미국 정부가 수립한 ‘국가치매 계획’은 오는 2025년까지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멈추거나 치료할 방법을 찾는다는 목표를 세우고 1600만달러를 투입해 임상시험에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치매 대응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영국은 지난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을 통해 치매 대응에 나서고 있다. 5년 단위로 시행되는 이 계획은 치매에 대한 국민적 의식 개선과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보건과 사회적 돌봄의 균형을 통해 치매환자와 보호자가 질 좋은 요양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유재훈 기자/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