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낙후한 저층주거지 6곳 ‘스마트시티’ 추진
중랑구 묵2동·강북구 수유동 등
도시재생과 융합 시도 주목

서울시가 낙후한 저층주거지를 정보통신(IT)기술을 입힌 스마트시티로 도시재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 정부 도시개발정책의 양대 화두인 ‘도시재생’과 ‘스마트시티’가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서울시의 도시재생담당 공무원들은 지난 26일 A통신사를 방문, 스마트시티기획팀과 만나 이같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중랑구 묵2동, 강북구 수유동, 도봉구 창3동, 은평구 불광2동, 서대문구 천연ㆍ충현동, 관악구 난곡ㆍ난향동 등 6개 지역의 도시재생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자리였다. 해당 지역들은 주택 노후화와 주민편의시설 및 기반시설 등의 부족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A사 측은 이 자리에서 주차장, 보안ㆍ가로등, 쓰레기 수거ㆍ관리, 미세먼지 모니터링, 화재 감시 등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스마트 기술을 통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설명했다.

가령 주차장의 경우 현재의 도시재생 방식은 마을에 공용 주차장을 만드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스마트 기술이 적용되면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주차장을 찾아내 불편을 덜 수 있다. 쓰레기 집하장에 센서를 설치해 쓰레기가 차면 적시에 수거를 한다거나, 유동인구를 파악해 상권 전략을 수립하는 일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그간 여러 유형의 도시재생 사업을 벌여 오기는 했지만, 스마트시티형은 없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지에는 인천 부평ㆍ조치원ㆍ부산 사하ㆍ포항ㆍ남양주 등 5개 지역이 스마트시티형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서울시는 배제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체 예산만으로 추진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있어서 현재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도시재생과 스마트시티를 결합하는 데 있어 또 다른 난관은 기존에 형성돼 있는 도시구조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신도시는 하얀 도화지와 같아서 스마트 기술을 이식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하지만, 구도시는 그렇지 않다”며 “구도시의 도시재생과의 연계는 안전, 생활편의 등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도시재생이나 스마트시티 모두 현재까지는 사업초기 단계라 개념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차장 등 생활 편의시설에 IT기술을 접목하는 것은 현재도 지자체나 아파트 별로 진행되고 있다”며 “도시재생이 ‘마을 가꾸기 수준’이라는 비판을 사고 있는 것처럼, 구호에 걸맞는 내실을 갖출 필요가 있다”

김성훈 기자/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