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데이터] 이주열, ‘결자해지’ 통화정책 성공할까

    역대 최저금리 주인공
금리 정상화도 이뤄내야
부채관리ㆍ성장유지 숙제
두번째 청문회 시선집중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연임 청문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총재는 이미 2014년 첫 청문회를 여야 만장일치로 통과했었다. 이번 청문회는 ‘신상털기’가 아닌 철저한 정책 청문회가 될 수 밖에 없다. 사상 최저 금리를 주도했던 한은 총재가 금리정상화를 이끌어야하는 상황도 처음이다. 이 총재의 ‘결자해지’ 통화정책이 청문회를 통해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시장의 관심은 금리인상 속도다. 시장에서는 당초 한은 총재의 ‘연임’ 확률이 낮은 만큼 4월 새 총재가 임명되면 국내외 경제상황 및 시장 등을 파악하느라 4~5월에는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빨라야 7월 이후 인상이 가능하리라 전망해왔다. 하지만 이 총재의 유임으로 ‘업무파악’ 변수가 제거됐다.


오는 21일(현지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3월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 것이 확실시 된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연 1.5~1.75%로 0.25%포인트 인상하게 되면 한미 금리는 약 10년 반 만에 뒤집히게 된다.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커지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시장에서는 당장 4월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이 어렵더라도 소수의견 등을 통해 구체적인 인상 시그널을 보인 후 5월께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5월에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당초 예상보다 2~3개월 빠르다.

일각에서는 이 총재가 지난 2014년 4월 취임 이후 다섯 차례의 금리 인하로 최저 금리를 만든 장본인인 만큼 ‘결자해지’ 차원에서 금리인상을 서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국내 경제상황은 이 총재가 금리를 쉽게 올릴 만큼 녹록지는 않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수출은 미국의 통상 압력으로 위태해지고 있고, 국내 소비는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다. 그렇다 보니 물가도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한은의 중기 목표치인 2% 달성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 145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증가 속도가 더뎌졌지만, 여전히 규모가 커 우리 경제의 ‘뇌관’이라 불린다. 기준금리 인하를 주도했던이 총재가 성급한 금리정상화로 가계부채 위험을 키우는 ‘자승자박’의 선택을 내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 총재가 44년만에 한은 총재 연임 결정을 내린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고려할 가능성도 크다. 실제 금통위 구성을 봐도 정부측 영향력이 크다.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타격을 줄 성급한 금리인상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는 이유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국내외 경제상황을 고려하면 지금은 치밀하고 정교한 통화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시장과의 소통을 통해 적절한 신호를 주는 이 총재의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