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 시선] 끝나지 않는 파티는 없다…자산시장 ‘버블’ 경계하라
글로벌 금리급등, 韓·美간 역전
부동산·코스닥 급등 ‘비정상적’


주요국 금리가 일제히 급등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초긴장 상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풀린 돈이 만들어 놓은 자산시장의 괴물들에게 금리상승은 치명적 위협이기 때문이다.

1일(현지시간) 미국 국채 격인 T노트 10년물 금리는 8.8bp(100bp=1%포인트)나 급등하며 2.793%를 기록, 1일 우리나라 국고채 10년물의 2.756%를 역전했다. 이에 2일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치솟으며 2.8%를 돌파했다. 한미 뿐 아니다. 경기지표 개선과 그에 따른 물가상승 기대로 유럽과 일본 등 주요국 모두가 연일 금리상승 경주를 벌이는 형국이다. 미국이 내달을 포함해 올해만 최소 3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미 장기물 지표인 10년물 3% 시대는 초읽기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도 자칫 외국인 자금이탈을 자극할 한미 금리역전을 방치하지 않으려면 적어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따라갈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10년물 3%대 진입은 의미가 크다. 미국 증시 간판인 S&P500지수의 현재 배당수익률이 연 2%대다. 채권금리가 3%대로 진입하면 위험자산의 매력이 줄어든다. 자금조달비용이 기대수익을 넘어설 수 있어서다. 현재 미국 S&P500와 나스닥의 주가수익비율은 23배, 38배에 달한다. 기대수익률로 단순환산하면 연 4.3%, 2.6%다. 게다가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저금리 동안 적극적인 차입으로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주주환원 정책을 펼쳤다. 금리가 급등하면 이자부담이 급증해 재무구조를 압박할 수 있다.

우리도 16억짜리 강남 아파트 값이 1년 새 23억원이 되고, 시가총액 27조원짜리 코스닥 기업 주가가 한달 새 40조원이 된 상황이다. 2014년 박근혜 정부가 7ㆍ24 부동산 대책과 9ㆍ1 부동산 대책을 잇따라 발표했다. ‘빚내서 집사라’며 재건축 규제도, 대출규제도 풀었다. 이 때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3%였다. 이 해 10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로 내렸고, 2016년 6월에는 1.25%까지 떨어뜨렸다.

국고채 10년 금리 3% 아래에서 부자들은 싼 이자로 돈을 빌려 앞다퉈 집을 샀고, 집값이 급등했다. 때마침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겹치며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주도한 코스피도 급등했다. 부자들은 주식으로 또 돈을 벌었다.

자산가격 급등에 뒤늦게라도 뛰어들려 서민들은 가상화폐로 코스닥으로 뛰어들었다.

특히 외국인까지 가세한 투자열풍으로 몇몇 바이오주가 폭등하며 코스닥이 치솟자 서민들은 증권사에서 고리의 돈을 빌려서까지 투자에 나섰다. 작년 4월 7조원대 초반이던 신용융자가 8개월여만에 10조원을 돌파했다. 그리도 딱 그만큼 코스닥지수가 올랐다.

시총 320조원이 채 안 되는 코스닥의 1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8조6681억원이다, 시총 1700조원이 넘는 코스피의 1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이보다 훨씬 작은 7조1426억원이다.

글로벌 금리급등에도 적지 않은 투자전문가들은 자산시장 붕괴우려에 대해 ‘과장됐다’는 진단을 내린다. 단기조정을 받을 수 있지만, 견조한 글로벌 경제 펀더멘털을 감안할 때 급격한 충격은 없을 것이란 논리다. 주요국 중앙은행이 진행할 긴축도 금리의 정상화 수준의 강도일 뿐 실물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 완만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기다리던 위기는 오지 않는다’는 논리도 다시 등장했다.

하지만 한번도 겪지 못한 변수는 있다. 상장지수펀드(ETF)로 대변되는 ‘패시브(passive)’ 자금이다. 저금리로 인한 자산가격상승은 저비용으로 시장수익률만 ‘따라가는’ 패시브 투자시장을 급팽창시켰다. 그 규모가 커지면서 ‘오르니까 이들이 따라가는’이 아닌, ‘이들이 따라가니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국내 증시와 채권시장에 유입된 자금 가운데도 이런 성격의 자금이 상당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문제는 이런 자금들이 자산가격 하락을 겪어보지 못한 데 있다. 가격하락이 시작되면 먼저 파는 사람이 유리하다. 패시브 자금들이 일제히 매도에 나설 경우 자산시장 폭락의 ‘방아쇠’가 당겨질 수도 있다. 증시는 물론 금리시장에서 패닉이 발생한다면 그 파장은 예측이 어려울 수 있다. 위기는 오지 않을 수 있지만, 이를 대비한 준비는 필요한 시기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