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노쇼 위약금' 도입 후 항공권 예약부도 확 줄었다
[헤럴드경제=이슈섹션]항공권 예약부도(노쇼, No-show)에 대해 위약금을 물린 이후 노쇼가 30∼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해 10월 기존 국내선에만 적용하던 ‘예약부도 위약금 제도’를 국제선까지 확대했다.

제도가 확대 시행된 작년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간 평균 예약부도율은 1.1%로, 직전 1년 평균인 1.7%와 비교해 크게 낮아졌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영업상 이유로 정확한 노쇼 숫자를 공개하기 어렵지만, 예약부도 위약금 제도 확대 후 예약부도율이 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사진=헤럴드경제DB]

항공기 출발 전까지 아무런 통보 없이 나타나지 않는 노쇼에 대해 대한항공은 거리에 따라 위약금을 부과하고 있다. 노쇼 위약금은 항공권 환불 수수료와는 별개로 부과되는 돈이다.

북미·유럽·중동·대양주 등 장거리 노선은 12만원(미화 120달러), 동남아·서남아 등 중거리 노선은 7만원(미화 70달러), 일본·중국 등 단거리 노선은 5만원(미화 50달러)의 위약금을 물린다.

국내선 노쇼에는 8,000원의 위약금을 받고 있다.

노선별로 작년 3분기와 올해 3분기 예약부도율을 비교하면 중동 노선이 2.1%에서 1.0%로 1년새 절반 이상 줄어 가장 큰 폭으로 노쇼가 줄었다

.중국 노선의 예약부도율도 같은 기간 1.9%에서 1.2%로 크게 낮아졌다.

미주는 1.8%→1.4%, 동남아 1.6%→1.1%, 대양주 1.4%→0.8%, 독립국가연합(CIS)1.1%→0.8%, 유럽 1.0%→0.7%, 일본 1.0%→0.6% 등 모든 노선에서 예약부도율이 낮아졌다.

아시아나항공도 작년 4월부터 국제선 노쇼에 10만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당시 아시아나항공의 예약부도율은 국제선 4.5%, 국내선 7.5% 등으로 대한항공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정확한 노쇼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제도 시행 이후 노쇼가 30% 정도 줄었다고 밝혔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사 입장에서는 노쇼로 좌석이 빈 채 운항하는 일을 줄일 수 있어 이익이고, 고객 입장에서는 성수기 등에 좌석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 이득”이라며 “세계 주요 항공사들도 올바른 항공 탑승 문화 정착을 위해 시행하는 제도”라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