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문학관 용산 추진 성토장 된 ‘문학진흥’ 공청회
-문체부 주관 공청회서 “환경훼손 그만” 반대 목소리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 8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지난해 2월 제정된 문학진흥법에 따라 향후 5년간 문학 정책의 밑그림을 발표하고 문학계 인사들의의견을 듣는 자리였다. 그러나 공청회 참석자들은 문학진흥기본계획보다는 한국문학관 위치선정에만 관심이 있었고주최측은 공청회 본뜻인 ‘공개적으로 의견을 듣기 보다’는 일방적으로 자신들의 입장만 이야기해 참가자들의 거센 반발을 일으켰다.

문학진흥정책위원회가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최적 후보지로 국립중앙박물관 부지 내 일부를 낙점한 게 발단이 됐다. 강형철 문화진흥정책위 부위원장(숭의여대 미디어문예창작전공 교수)은 “대표성과 상징성, 확장성, 접근성, 국제교류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부지를 선정했다”며 “국립용산공원과 조화로운 문학관이 될 수 있어 국립중앙박물관 옆 부지를 최적 후보지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문학진흥정책위원회가 문체부에 의견을 제출했을 뿐 국립중앙박물관 내 부지로 최종 확정된 건 아니라고 설명했으나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강 부위원장이 발표한 제1차 문학진흥 기본계획(안)에는 ‘주변 지역(국립용산공원 등)과의 생태ㆍ문화적으로 조화로운 민관 협의체 구성ㆍ논의를 통해 부지 확정’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부지 선정 조속 추진을 촉구하고 있어 이미 부지가 결정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토론자 중 일부는 최적 후보지 의결 결정 과정에 의문을 제기했다.

애초 문체부는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부지를 지난해 5월 전국 16개 시ㆍ도 24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공모 방식으로 결정하려 했다. 방침은 한 달 만에 바뀌었다. 6월 지자체 간 과열경쟁 등을 이유로 공모를 중단하고 문학진흥 태스크포스 결정 계획을 발표했다.

김성달 한국소설가협회 편집국장은 “성급하게 어디에 만들 것인가부터 경쟁하느라 정작 본질인 어떻게 만들고 무엇을 채울 것인가는 뒷전”이라며 “전국의 국민들이 찾아와 문학의 향취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마땅히 기능해야 할 터”라고 지적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때는 국립중앙박물관 내 부지의 적절성 등을 놓고 잇단 질문이 나오자 사회자는 질문을 안받겠다고제동을 걸었으나 곳곳서 질문이 이어졌다.

게다가 일부 시민들이 ‘문학관이 국립중앙박물관의 부속품이냐!’ ‘서울 허파, 용산공원을 괴롭히지 마세요’ ‘환경 훼손 그만해’ 등의 현수막을 펼치며 자리에서 일어서 장내가 소란해졌다.

문학진흥정책위원회가 점찍은 부지는 국립중앙박물관 왼편의 문체부 소유 국유지다. 문제는 이곳과 도로 사이에 서울시 소유 부지가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가 이곳에 생태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며 진입로를 제공할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어 입구에서 후보지까지 1㎞가 넘는 진입로를 개설하려면 녹지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 게다가 국토부도 반대하고 있어 부지로 결정되도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옆 부지가 국립한국문학관 부지로 부적절하다는 청중의 지적에 강 부위원장은 “(최종 부지가) 정해진 자리가 아니다”라면서도 “아주 흡족한 부지”라고 했다.

그는 “용산은 일제 군 사령부가 있던 곳이고 이어 미군이 들어와 소유권을 주장하는 곳”이라며 “전쟁과 침략이 있었던 곳에 사랑과 평화와 미래를 얘기하는 문학의 자리가 선다는 점에서 대단히 훌륭한 부지”라고 최적 후보지로 추천한 배경을 설명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