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노상 주차관리원의 눈물
길위 식사·하루 12시간 실랑이
일부 “주차료 비싸”돈 던지기도


지난 3일 금요일 오후 7시 경기도 고양시 한 유흥가 골목. 길거리에 주차하는 차를 자전거를 타고 쫓는 이가 있었다. 멀리서도 반짝이는 자동차 빛이 보이면, 땀나게 페달을 밟았다. 자전거 주인은 4년차 노상 주차관리요원 이모(75)씨다.

창문을 열고 30대쯤으로 보이는 차주가 주차를 하며 “잠깐 식사만 하고 올 건데 얼마예요?”라고 못마땅한 목소리로 말했다. “1시간에 900원이요. 사장님 꼭 제시간에 나오셔야 해요.” 이 씨는 숨을 몰아 쉬며 답했다.

창문 너머로 5000원을 받고서 그는 허리가방 안을 뒤적이며 잔돈을 찾았다. 바람이 불어오자 가방 안에 지폐들이 날아갈 듯 펄럭였다. 다급해진 그는 장갑을 벗고 1000원짜리를 골라냈다. 잔돈을 챙겨 차 주인에게 건네자마자 “빵빵”하며 건너편 카페 근처에서 경적소리가 울렸다. 그를 찾는 소리다. 이 씨는 급하게 “좋은 시간 보내고 오세요”라고 외친 뒤, 자전거도 팽개치고 달려갔다.

지난 3일 경기도 고양시 한 유흥가 골목에서 일하고 있는 노상 주차관리원 이모(75)씨의 모습.

음식점, 술집, 카페 등이 즐비한 번화가 앞 약 500m노상은 그의 일터다. 오전 9시부터 밤 9시까지 이곳에 주차하는 사람에게 요금을 책정하고 걷는 일을 한다.

요금을 내지 않고 그냥 가버리는 사람들과 씨름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다. 10명 중 2명은 잠시 화장실만 다녀오겠다고 한 뒤 몇 시간이 지나도록 오지 않는다. 아무리 사람들에게 “시간 맞춰 오셔야 한다”고 당부해도 소용이 없다. “문자를 보내고 전화를 해도 안 나타나는 사람이 많아요. 하염없이 기다릴 때가 가장 답답하죠.”

그는 인터뷰 중간 중간에도 주차차량 하나라도 놓칠까 계속해서 주위를 살폈다. 저녁은 드셨냐고 물었더니 “저녁?”이라고 반문한 뒤 주차하는 차량으로 또 달려갔다.

창문 너머로 돈을 던지거나 술 취해 욕을 하는 사람도 많다. 주차 요금이 비싸다고 시비를 거는 사람들도 셀 수 없다. 그는 “다 감수해야지 어쩌겠나”라며 한숨을 쉬었다.

그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요금을 안내고 가버린 사람들이다. 그는 며칠 전에도 미수금 5000원을 받기 위해 1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5000원은 그의 시급과 맞먹는 돈이다. 1시간에 5500원. 그는 최저임금에도 한참 못 미치는 돈을 받는다. “몇 천원을 걷겠다고 하염없이 손님을 기다리면 비참하죠. 요즘 같은 추운 날에는 더더욱….”

굳이 몇 천원을 더 받으려고 늦게까지 일하는 이유를 물었다. 수금가방은 그의 생계였다. “퇴근 할 때 수금가방을 반납하고 가요. 수금한 돈을 갖고 회사에서 고과 점수를 매기는데, 점수가 낮으면 그만 둬야 해요. 일흔의 노인네를 어디서 써주겠소. 이렇게 일하는 것도 감사하지.”

이 씨는 고양시 시설공단이 노상 주차관리를 위해 계약한 민간 외주업체에 아르바이트생으로 소속해 있다. 10시간이 근무시간이지만 보통 2시간을 더 일한다. 그래서 받는 돈은 5만5000원. 임금은 박하지만 이곳에서 일하는 60~70대 노인들에게는 그래도 감사하다. 그는 “언제든 나가라고 하면 나가야 한다”며 “잘리면 큰 일이라 한 푼이라도 악착같이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시내 노상 주차관리원들이 최저임금도 못 미치는 돈을 받으며 12시간 넘게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들을 간접 고용한 고양시 시설 관리공단 측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 고양시 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민간업체에 위탁한 일이라 그쪽에 문의해보라”는 말뿐이었다. 이 씨가 속한 업체관계자는 “최저임금에 조금 못 미치는 돈을 주는 건 맞지만, 수금을 압박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오후 8시 40분. 그가 처음으로 자전거에 내려 간이 접이 의자에 앉았다. 유일한 쉼터였다. “앉을 시간도 없는데 저녁은 사치”라고 그는 말했다. “밥 먹는데 보통 15분을 못 넘겨요. 밥 먹는 동안 회사동료가 교대해주는데 길게 먹으면 미안하죠. 점심 때도 주차차량 밀려오는데….” 그래서 그는 때론 길바닥에서 먹는 도시락이 더 맘이 편하다고 했다.

비 오는 날은 자전거를 타고 돌아다녀야 하는 노상 주차관리원들에게 괴로운 날이다. 우산을 들면 넘어지기 십상이다. 우비를 입어도 비가 쏟아지는 날이면 온몸이 다 젖는다. 유난히 비가 많이 내리던 올해 여름엔 하루 종일 비를 맞으면서 자전거를 몬 적도 많았다. 이제는 겨울 비 걱정이다.

정세희 기자/s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